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독교 대학생의 역기능적 종교성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영성의 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ysfunctional religiosity and career adaptability among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발행기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저자명
임계순(Gyesoon Lim) 유아신(YAXIN LIU) 임은미(Eunmi Lim)
간행물 정보
『기독교교육 논총』제82집, 157~18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역기능적 종교성이 영성을 매개로 하여 기독교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역기능적 종교성이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과 영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대학생 208명을 대상으로 역기능적 종교성 척도 단축형, 한국어판 영성 평가 척도, 진로적응성 척도를 활용하여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둘째, 수집된 자료는 SPSS 27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을 통해 측정변수 간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AMOS 29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통해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론 및 제언 :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기능적 종교성, 영성, 진로적응성 사이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역기능적 종교성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영성의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시사점과 한계점, 후속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Research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ysfunctional religiosity on career adaptability among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with spirituality as a mediating variable.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ysfunctional religiosity on career adaptability and the mediating role of spirituality,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to 208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using the Short Form of the Dysfunctional Religiosity Scale, the Korean version of the Spirituality Assessment Scale, and the Career Adaptability Scale. Seco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7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easured variables. Third, AMOS 29 was used to conduct a mediation analysis,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tested through the bootstrapping method. Conclusion and Sugges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dysfunctional religiosity, spirituality, and career adaptability. Second, a full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ity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ysfunctional religiosity and career adaptability among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i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계순(Gyesoon Lim),유아신(YAXIN LIU),임은미(Eunmi Lim). (2025).기독교 대학생의 역기능적 종교성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영성의 매개효과. 기독교교육 논총, (), 157-180

MLA

임계순(Gyesoon Lim),유아신(YAXIN LIU),임은미(Eunmi Lim). "기독교 대학생의 역기능적 종교성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영성의 매개효과." 기독교교육 논총, (2025): 157-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