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심리운동의 정서효과를 위한 메타분석: 기독교교육상담의 적용을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Meta-analysis of the emotional effects of psychomotor activities: Focusing on applications in Christian educational counseling
발행기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저자명
박미라(Mila Park)
간행물 정보
『기독교교육 논총』제82집, 93~11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본 논문에서는 기독교교육과 상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심리운동의 효과성을 연구하여, 심리운동이 실제 어떻게 효과적이었는지를 검증하고, 미래적으로 심리운동을 정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어떻게 활용할 것 인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심리운동의 효과에 있어서 특히 심리 및 정서적 효과성의 크기를 검증하기 위해 메타분석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교육과 상담현장에서의 적용에 관한 목적이 있음으로 집단실험 유형과 정서적 효과를 검증한 학술지 논문들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심리운동 상담효과에서 단순한 운동 훈련프로그램, 사례 또는 모형연구, 동향분석연구 등의 논문들은 제외하고, 운동 심리 상담적인 연구내용을 가지고 효과를 연구한 논문 9개를 선별하였다. 결론 및 제언 :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첫째, 심리운동의 정서적 효과에서 전체효과크기 분석에서 평균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분석에 포함된 표본 수로 인해 결과의 신뢰성도 높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조절변수에 대한 결과에서, 대상에 대한 조절 효과 분석 결과는 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아동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 간에 효과 크기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활동유형에 대한 조절 효과 분석 결과, 이 요인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놀이 활동이 참여대상자에게 더 효과적인 개입임을 시사했다. 기독교교육과 상담분야에서는 인간의 전인적 발달과 통합에 적용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첫째, 심리운동의 정서적 효과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음으로 통합적 기독교 전인성교육에 활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둘째, 기독교교육과 상담분야에서 감각과 경험을 통한 신앙 내면화의 필요에 적용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방법을 심리운동을 통해 습득하여 사회적 관계와 공동체 형성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Purpose of Research: This paper tried to study the effectiveness of psychological exercise that can be used in Christian education and counseling, verify how psychological exercise was actually effective, and study how to use psychological exercise in solving emotional problems in the future. Research Content and Methods: Meta-analysis research methods were used to verify the magnitude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effectiveness in the effectiveness of psychological exercise in particular. In this study, academic papers that verified the group experiment type and emotional effect were selected because of the purpose of applying Christian education and counseling in the counseling field. In the psychological exercise counseling effect, nine papers that studied the effect with the research content of exercise psychological counseling were selected, except for papers such as simple exercise training programs, case or model studies, and trend analysis studies. Conclusion and Sugges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can be judged that the emotional effect of psychological exercise has an effect on the average in the overall effect size analysis, and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is high due to the number of samples included in the analysis. Second, in the results of the control variable, the results of the control effect analysis on the subject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facto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ffect size between the studies of children and adults. This suggested that play activities are a more effective intervention for participants. In the fields of Christian education and counseling, it was suggested that it can be applied to human holistic development and integration.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effect size of psychological movement was large, so it is suggested to use it for integrated Christian education. Second, it is proposed to apply it to the need for internalization of faith through senses and experiences in the fields of Christian education and counseling. Finally, it is suggested to help them learn how to understand and express their emotions through psychological movements and apply them in social relations and community formatio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미라(Mila Park). (2025).심리운동의 정서효과를 위한 메타분석: 기독교교육상담의 적용을 중심으로. 기독교교육 논총, (), 93-112

MLA

박미라(Mila Park). "심리운동의 정서효과를 위한 메타분석: 기독교교육상담의 적용을 중심으로." 기독교교육 논총, (2025): 93-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