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ractice and meaning of teacher agency in small schools: A case study of an N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이하나(Hana Lee) 원지은(Jieun Won)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82집, 131~15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소규모 기독교 대안학교를 사례로 교사 행위주체성의 발현 과정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소규모학교의 교육적 가치와 의미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내용 및 방법 : 본 연구는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N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 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교사들의 학교 인식, 행위주체성 발휘 양상, 그리고 주체성과 학교 지속가능성의 관계를 심층 면담과 문서 자료 분석을 통해 탐색하였다. 자료 분석은 교사 행위주체성의 반복적, 투영적, 실천적-평가적 차원에 따라 분류하고, 주제별 코딩과 삼각검증을 통해 해석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결론 및 제언 : 교사들은 신앙적 소명과 공동체적 연대 의식을 바탕으로 구조적 제약 속에서도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교육 실천을 이어가며 학교 운영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그러나 재정, 행정, 리더십 부재와 같은 구조적 한계는 교사들의 지속 가능한 실천을 위협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소규모학교의 교육적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교사 행위주체성을 지지하는 제도적 기반 마련과 함께, 재정적·행정적 지원 체계, 안전 매뉴얼 구축 등이 긴급히 필요함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Purpose of Research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teacher agency in a small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and examine its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al value and meaning of small schools.
Research Content and Method :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five teachers from an N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in Yongin, Gyeonggi Province. Using in-depth interviews and document analysis, it explored teachers’ perceptions, agency practices, and their connection to school sustainability.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matic coding based on the iterational, projective, and practical-evaluative dimensions of teacher agency.
Conclusion and Suggestions : Teachers actively participated in school operations through creative practices grounded in religious calling and communal solidarity. However, financial instability, administrative limitations, and leadership gaps were identified as threats to sustainability. Institutional support systems, including financial, administrative, and safety infrastructures, are urgently needed to strengthen teacher agency and ensure the viability of small school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작은 교회 연합 기독교교육 사례 연구
- 한국 장로교(예장통합) 가정예배의 교육학적 이해와 대안적인 교육목회적 실천에 관한 연구
-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기독교 동아리 운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 다문화적 환경에서 기독교 교양 교수의 수업 경험 : 볼프강 쥥켈의 수업 현상학적 접근
- 심리운동의 정서효과를 위한 메타분석: 기독교교육상담의 적용을 중심으로
- 능력신념과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의 영향 관계 검증과 기독교교양과목을 활용한 지원 방안 탐색
- The influence of teachers in young children's spirituality in Korea
- 기독교 대학생의 역기능적 종교성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영성의 매개효과
- 소규모학교에서 교사 행위주체성의 실천과 의미 : N 기독교 대안학교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퍼펫을 활용한 가족 놀이치료 단일 사례연구 : 이혼 가정을 대상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