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20년대 러시아 캄차트카반도 이주 한인들의 정착과 생활에 대한 연구 - 국립해양박물관 소장 『극동의 수산(極東之水産)』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settlement and life of Korean immigrants in the Kamchatka Peninsula of Russia in the 1920s : Focusing on the Korea National Maritime Museum’s collection of 『Far Eastern Fisheries』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저자명
방민규(Minkyu Pang)
간행물 정보
『아태연구』제32권 제2호, 5~3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해양박물관 소장 『극동의수산(極東之水産)』을 통해 1920년대 러시아 극동 캄차트카반도 이주한인에 대한 새로운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한국 학계나 일본에서는 거의 언급되지 않았던 『극동의수산』의 내용을 통해 상대적으로 정보가 부족했던 캄차트카반도 이주한인들의 삶에 대한 자료를 소개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수산업 전문서적으로 당시 일본이 수산업에 얼마나 집중했는지를 러시아 캄차트카반도의 수산업 현황, 통조림 제조 등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국립해양박물관 소장 『극동의수산』은 일본의 조선 강제병합 14년 후인 1924년에 발간된 수산업 전문서적이다. 일본어로 쓰여진 자료를 번역하고 검토하여 이주한인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살펴보았다. 러시아측 자료 또한 검토하였는데 러시아 자료에 따르면 1910년대 캄차트카반도에 100명 이상의 한국인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10년 동안 이주 한인의 수가 두 배 이상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당시 일본은 제조업, 자본 수출, 재정 통제 등을 통해 식민지 지배를 강화하고 있었던 시기이다. 일본인에 의해 1924년에 출판된 캄차트카반도 수산업 전문서적에 한인 이주민에 대한 기록이 실린 것은 극히 드문 사례로 여겨진다. 조선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가졌던 저자 하야시 고마오(林駒生) 역시 러시아 극동 캄차트카반도에서 만난 이주 한인들의 근면함, 성실성을 인정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런 평가는 러시아인들의 이주 한인에 대한 평가와도 유사해 이주 한인들이 새로운 환경에 놀라울 정도로 잘 적응했던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new data on Koreans living in the Kamchatka Peninsula in the Russian Far East in the 1920s through the National Maritime Museum’s collection of 『Far Eastern Fisheries』. In particular, it aims to examine how Koreans were perceived from a Japanese perspective through the content of the text.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in introducing data on the lives of Koreans living in the Kamchatka Peninsula, an area where information was relatively lacking, through the content of 『Far East Fisheries』, which has rarely been mentioned in Korean academic circles or in Japan. In particular, although specialized books on the fisheries industry have described how much Japan focused on the fisheries industry, the current status of the fisheries industry in the Kamchatka Peninsula of Russia, fishing, and canning, this paper focuses on introducing data on Koreans. The National Maritime Museum’s 『Far Eastern Fisheries』 is a specialized book on the fisheries industry published in 1924, 14 years after Japan’s forced annexation of Korea. We translated and reviewed the material written in Japanese and examined it, focusing on the content related to Korean immigrants. We also reviewed Russian data, which estimated that over 100 Koreans lived on the Kamchatka Peninsula in the 1910s. We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Korean immigrants more than doubled over the next 10 years. At the time, Japan was strengthening its colonial rule through manufacturing, capital exports, and financial control. It is considered an extremely rare case that a Japanese-published book on the Kamchatka Peninsula fisheries industry in 1924 included a record of Korean immigrants. The author, Hayashi Komao (林駒生), who had extensive knowledge of Korea, also seems to have acknowledged the diligence and sincerity of the Koreans he met on the Kamchatka Peninsula in the Russian Far East. This evaluation is similar to the Russians' evaluation of Korean immigrants, suggesting that Korean immigrants have adapted surprisingly well to their new environment.

목차

Ⅰ. 들어가는말
Ⅱ. 『극동의 수산(極東之水産)』개관
Ⅲ. 러시아 자료를 통해 본 캄차트카반도 이주 한인들의 정착과 생활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방민규(Minkyu Pang). (2025).1920년대 러시아 캄차트카반도 이주 한인들의 정착과 생활에 대한 연구 - 국립해양박물관 소장 『극동의 수산(極東之水産)』을 중심으로. 아태연구, 32 (2), 5-30

MLA

방민규(Minkyu Pang). "1920년대 러시아 캄차트카반도 이주 한인들의 정착과 생활에 대한 연구 - 국립해양박물관 소장 『극동의 수산(極東之水産)』을 중심으로." 아태연구, 32.2(2025): 5-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