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노인의 복합만성질환 유무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 영향요인 - 2020년 노인실태조사를 바탕으로 -
이용수 0
- 영문명
- Factors Affecting Cognitive Dys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Multimorbidity in Korean Older Adults - Based on the 2020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김미연(Mi Yeon Kim) 김은하(Eun Ha Kim) Young Mi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1, 189~20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노인의 복합만성질환 유무별 인지기능 저하의 영향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이차자료를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총 조사대상 10,097명 중 대리응답자 및 인지기능 문항의 무응답자 212명을 제외한 9,885명 중에서 의사의 진단을 받은 치매로 응답한 노인 143명을 제외하여 9,742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복합만성질환 유무에 따라 SPSS/WIN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이제곱 검정과 이항로지스틱 회귀분 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기능 저하 노인의 비율은 비복합만성질환군 23%에 비해 복합만성질환 군27.7%로 복합만성질환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 발생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기능 저하의 영향요인으로 비복합만성질환군과 복합만성질환군에서 공통으로 교육수준, 사회활동 및 도구적 일상생 활수행능력이 나타난 반면, 비복합만성질환군에서 가구소득과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타났고, 복합만성 질환군에서 음주, 운동, 기본적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증이 나타났다. 이 결과는 복합만성질환 유무에 따라 노인의 인지저하 예방을 위한 간호 중재가 차별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descriptive study analyzes secondary data from the 2020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cognitive dysfunction based on multimorbidity in older adults. From 10,097 participants, 212 proxy respondents and non-respondents to cognitive items were excluded, resulting in a final sample of 9,742 after also removing 143 diagnosed with dementia. Chi-square test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were conducted using SPSS/WIN 29.0 by multimorbidity status. Findings showed that the prevalence of cognitive dysfunction was higher in the multimorbidity group (27.7%) than the non-multimorbidity group (23%). Common influencing factors were educational status, social participation,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in both groups. However, household income and self-rated health were significant in the non-multimorbidity group, while alcohol consumption, physical activity,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 in the multimorbidity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tailored nursing interventions to prevent cognitive dysfunction in older adults with multimorbid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1권 제1호 목차
- 건강 신념 모델이 코로나19 백신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디어 유형별 신뢰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노인의 생애주기별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부모의 주말근무와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의 학습 및 여가시간: 시간일지를 중심으로
- 산불 진화용 친환경 지연제 개발 및 성능 평가
- MZ세대 대학생의 기부행동 예측모형: 합리적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 지각된 대학환경과 신입생의 학업중단 의도에서 대학경험의 매개효과
- 소나무 수관부 부위별 함수율 변화에 따른 탄소 배출량 분석
- 학생선수의 운동·학업 병행 속 정체성 위기: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비교 분석
-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지역위기 극복을 위한 지역화폐 활성화 방안 모색 청주시 청주페이를 중심으로
- TOC 농도 추정을 위한 최적 수질 인자 및 모델 선정
- ETCCDI 지수를 이용한 남한 지역의 기후변화 추이 분석
-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 수업의 성취도 예측요인: 초·중·고등학교 교사, 강사 및 과정 요인
- 한국 노인의 복합만성질환 유무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 영향요인 - 2020년 노인실태조사를 바탕으로 -
- 재해영향평가 유출량 매개변수 변화와 유출량의 상관성 분석
참고문헌
- Brain: A Journal of Neurology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 Biological Psychiatry
-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JAD
- Journal of Neuropsychiatry
- Journal of Life Science Research
- Frontiers in Aging Neuroscience
-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 Ph.D. Dissertation
-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 Annals of Family Medicin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Korean Journal of Clinical Geriatrics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Journals of Gerontology
-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Bundang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 Neuropsychology, Development, and Cognition. Section B, Aging, Neuropsychology and Cognitio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 Neurobiology of Aging
- OECD Publishing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Family Practice
- Proceedings of the Korean Academy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Conference
-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Clinical Gerontologist: The Journal of Aging and Mental Health
-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 European Journal of General Practice
-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 Neurology
-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 Journal of Psychology and Theology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1권 제1호 목차
- 건강 신념 모델이 코로나19 백신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디어 유형별 신뢰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노인의 생애주기별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