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생선수의 운동·학업 병행 속 정체성 위기: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비교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Identity Crisis in Student-Athletes Balancing Academics and Athletics: A Comparative Analysis of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김아연(A Yeon Kim) 김혜선(Hye Su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1, 103~13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고등학생과 대학생 학생선수들이 학업과 운동을 병행하면서 겪는 정체성 위기를 조사한 것이다. Noblit & Hare(1988, 1999)의 메타합성 접근법을 활용하여 15명의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한 6편의 질적 연구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낮은 자율성과 운동 중심 환경에서 성장한 고등학생 선수들은 학업 소외와 정체성 혼란을 겪었고, 이는 대학 진학 후 정체성 재구성을 방해했다. 반면, 대학생 선수들은 학업과 운동의 균형을 통해 자율성을 주장하려 했으나 여전히 진로 불확실성과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했 다. 이에 따라 운동 문화 개혁, 학업-운동 병행을 위한 통합 지원 시스템 구축, 발달 단계에 맞춘 진로 탐색 프로그램 확대, 심리적·신체적 지원 체계 강화를 권고한다. 이 연구는 학생선수들의 정체성 위기가 발달 단계와 환경적 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강조하며, 장기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dentity crisis experienced by high school and collegiate student-athletes as they balance academics and athletics. Using Noblit and Hare's metasynthesis approach, six qualitative studies involving 15 student-athletes were analyz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high school student-athletes, operating in a low-autonomy and sports-centered environment, experienced academic marginalization and identity confusion, which hindered their identity reconstruction during college. In contrast, college student-athletes attempted to assert autonomy by balancing academics and athletics but continued to face career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challenges. Recommendations include reforming the athletic culture, establishing an integrated support system for academic-athletic balance, expanding career exploration programs tailored to developmental stages, and enhancing psychological and physical support systems. This study highlights how student-athletes’ identity crises vary by developmental stage and environmental factors, underscoring the necessity of a long-term, holistic approa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분석결과
Ⅳ. 논의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1권 제1호 목차
- 건강 신념 모델이 코로나19 백신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디어 유형별 신뢰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노인의 생애주기별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부모의 주말근무와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의 학습 및 여가시간: 시간일지를 중심으로
- 산불 진화용 친환경 지연제 개발 및 성능 평가
- MZ세대 대학생의 기부행동 예측모형: 합리적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 지각된 대학환경과 신입생의 학업중단 의도에서 대학경험의 매개효과
- 소나무 수관부 부위별 함수율 변화에 따른 탄소 배출량 분석
- 학생선수의 운동·학업 병행 속 정체성 위기: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비교 분석
-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지역위기 극복을 위한 지역화폐 활성화 방안 모색 청주시 청주페이를 중심으로
- TOC 농도 추정을 위한 최적 수질 인자 및 모델 선정
- ETCCDI 지수를 이용한 남한 지역의 기후변화 추이 분석
-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 수업의 성취도 예측요인: 초·중·고등학교 교사, 강사 및 과정 요인
- 한국 노인의 복합만성질환 유무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 영향요인 - 2020년 노인실태조사를 바탕으로 -
- 재해영향평가 유출량 매개변수 변화와 유출량의 상관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1권 제1호 목차
- 건강 신념 모델이 코로나19 백신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디어 유형별 신뢰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노인의 생애주기별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