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나무 수관부 부위별 함수율 변화에 따른 탄소 배출량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Carbon Emissions According to Changes in Moisture Content in Each Part of the Pine Tree Crowns
발행기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저자명
권혁(Hyuk Kwon) 허석봉(Seok Bong Heo) 양기근(Gi Geun Yang)
간행물 정보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1, 91~101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1.3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소나무 솔잎과 솔방울의 함수율에 따른 연소 시 CO와 CO2 배출량을 시험·분석하여 정량화하 였다. 솔잎과 솔방울 연평균 함수율 55.97%, 38.58% 따른 연평균 CO는 0.0549kg, 0.02141kg 배출하였다. 불완전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CO 배출량은 솔잎의 성분함량, 추출성분, 채취 시기, 부위 등 다양한 차이로 기인하며, 월별 함수율 증감에 따라 CO 배출량 증감 추세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솔잎과 솔방울의 연평균 CO2 배출량은 0.5348kg, 0.8709kg로 분석되었다. 함수율이 감소하는 3월~5월에 CO2 배출량 증가 가 뚜렷하였으며, 함수율이 증가하는 7월~10월 CO2 배출량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기후 위기 대응 방안으로 장기간 대형산불이 발생하는 경우 산림 고유의 탄소 흡수량과 산소 배출량, 산림 연소 시 발생하는 CO, CO2 배출량을 정량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 확보와 산림의 편향적 임목 구조 개선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ested, analyzed, and quantified the emissions of CO and CO2 during the combustion according to the moisture content of pine needles and cones. The average annual CO emissions from pine needles and pine cones were 55.97% and 38.58%, respectively, with 0.0549 kg and 0.02141 kg emissions. CO emissions generated by incomplete combustion result from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pine needles, extraction components, collection time, and site; there was no trend of increase or decrease in CO emissions based on the monthly fluctuations in moisture content. The CO2 emissions from pine needles and pine cones were annually analyzed as 0.5348 kg and 0.8709 kg. There was a definite increase in CO2 emissions from March to May when moisture content decreased, while CO2 emissions declined from July to October when moisture content increased. Securing fundamental data that can quantitatively estimate the forest's inherent carbon absorption, oxygen emissions, and CO and CO2 emissions produced during forest combustion, as well as improving the forest's biased tree structure, is essential in response to the climate crisis.

목차

Ⅰ. 서론
Ⅱ. 실험 내용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및 항후 과제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혁(Hyuk Kwon),허석봉(Seok Bong Heo),양기근(Gi Geun Yang). (2025).소나무 수관부 부위별 함수율 변화에 따른 탄소 배출량 분석. 한국위기관리논집, 21 (1), 91-101

MLA

권혁(Hyuk Kwon),허석봉(Seok Bong Heo),양기근(Gi Geun Yang). "소나무 수관부 부위별 함수율 변화에 따른 탄소 배출량 분석." 한국위기관리논집, 21.1(2025): 91-1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