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Z세대 대학생의 기부행동 예측모형: 합리적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Prediction Model for MZ Generation College Students’ Donation Behavior: Focusing on the Theory of Rational Action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송효숙(Hyo Suk Song) 임소희(So Hee L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1, 63~7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래를 이끌어갈 MZ세대의 대표 집단인 대학생의 기부행동을 설명하고 예측하고자 Ajzen & Fishbein(1980)의 합리적 행동이론을 개념적 기틀로 설정하여 예측 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의 재학생 351명을 대상으로 2022년 7월부터 10월까지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SPSS Window 18.0과 AMOS 17.0을 이용하여 가설모형의 적합성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공분산 구조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모델의 모델 적합도 지수는 χ2/df=2.97(p<.001), GFI=.89, AGFI=.84, NFI=.91, CFI=.87, RMR=.08, RMSEA=.08로 나타났다. 기부경험(γ=.09, p=.049), 기부태도(γ=.13, p=.014), 공동체의식(γ=.14, p=.024), 사회공정성(γ=.18, p=.004)과 기부의도(γ=.45, p=.015)가 기부행동 증가에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기부태도(γ=.11, p=.013), 공동체의식(γ=.09, p=.009)과 기부재미(γ=.11, p=.014)가 기부의도를 매개로 하여 기부행동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부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도출된 변인들을 중심으로 특화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ain and predict the don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a representative group of the MZ generation who will lead the future, by verifying the prediction model.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July to October 2022 from 351 university students. SPSS Window 18.0 and AMOS 17.0 were used to analyze the fit of the hypothesis model and verify the hypothesis using the covariance structure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odel fit indices of the research model were χ2/df=2.97 ( <.001), GFI=.89, AGFI=.84, NFI=.91, CFI=.87, RMR=.08, and RMSEA=.08. Donation experience (γ=.09, =.049), donation attitude (γ=.13, =.014), sense of community (γ=.14, =.024), social justice (γ=.18, =.004) and donation intention (γ=.45, =.015) had a direct effect on increasing donation behavior. In addition, donation attitude (γ=.11, =.013), sense of community (γ=.09, =.009), and donation fun (γ=.11, =.014) influenced the increase in donation behavior through donation inten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specialized programs centered on the derived variables to increase donation behavio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1권 제1호 목차
- 건강 신념 모델이 코로나19 백신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디어 유형별 신뢰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노인의 생애주기별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부모의 주말근무와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의 학습 및 여가시간: 시간일지를 중심으로
- 산불 진화용 친환경 지연제 개발 및 성능 평가
- MZ세대 대학생의 기부행동 예측모형: 합리적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 지각된 대학환경과 신입생의 학업중단 의도에서 대학경험의 매개효과
- 소나무 수관부 부위별 함수율 변화에 따른 탄소 배출량 분석
- 학생선수의 운동·학업 병행 속 정체성 위기: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비교 분석
-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지역위기 극복을 위한 지역화폐 활성화 방안 모색 청주시 청주페이를 중심으로
- TOC 농도 추정을 위한 최적 수질 인자 및 모델 선정
- ETCCDI 지수를 이용한 남한 지역의 기후변화 추이 분석
-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 수업의 성취도 예측요인: 초·중·고등학교 교사, 강사 및 과정 요인
- 한국 노인의 복합만성질환 유무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 영향요인 - 2020년 노인실태조사를 바탕으로 -
- 재해영향평가 유출량 매개변수 변화와 유출량의 상관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1권 제1호 목차
- 건강 신념 모델이 코로나19 백신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디어 유형별 신뢰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노인의 생애주기별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