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OC 농도 추정을 위한 최적 수질 인자 및 모델 선정
이용수 0
- 영문명
- Selection of Optimal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Model for TOC Concentration Estimation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주강빈(Kang Bin Ju) 정한나(Han Na Jung) 장동우(Dong Woo J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1, 143~15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수질 예측은 수질 환경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최근 다양한 기계 학습 및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환경부에서 유기물질 측정 지표를 CODmn에서 TOC로 전환하는 등 TOC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연수구 승기천을 대상으로 TOC 농도 예측 모델 생성을 위한 최적 입력 변수 및 예측 모델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최적 입력 변수 선정은 Pearson 상관도 분석과 Exhaustive Search를 통해 도출하였으며, 최적 예측 모델은 회귀분석, 다층 퍼셉트 론(MLP) 인공신경망, 랜덤포레스트 모델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모델 성능 비교 결과 T-N, DTN, NH3-N, BOD, NO3-N을 입력 변수로 사용하는 MLP 모델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R² 값 0.6280과 RMSE 0.8656의 결과를 기록하였다. 본 연구는 승기천의 TOC 농도 예측을 위한 최적의 입력 변수를 제안함과 동시에, 앞서 언급한 다섯 가지 주요 수질 인자를 활용한 MLP 모델이 유사한 특성을 가진 다른 하천에서 도 TOC 예측에 높은 신뢰도를 제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Water quality prediction is a key factor in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with growing interest in utilizing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techniques. A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ransitions the organic matter measurement indicator from CODmn to TOC, the importance of TOC has significantly increased. This study aims to propose optimal input variables and a prediction model for TOC concentration in Seunggi- Stream, Yeonsu-gu, Incheon. Input variables were deriv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Exhaustive Search. The prediction models tested include Regression Analysis, Multi-Layer Perceptron (MLP) Neural Networks, and Random Forest. Among them, the MLP model using T-N, DTN, NH3-N, BOD, and NO3-N as input variables showed the best performance, achieving an R² of 0.6280 and an RMSE of 0.8656. This study identifies optimal input variables for TOC prediction and suggests that the MLP model can provide reliable TOC predictions for stream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대상지 분석
Ⅳ. 모델 구축 및 결과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1권 제1호 목차
- 건강 신념 모델이 코로나19 백신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디어 유형별 신뢰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노인의 생애주기별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부모의 주말근무와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의 학습 및 여가시간: 시간일지를 중심으로
- 산불 진화용 친환경 지연제 개발 및 성능 평가
- MZ세대 대학생의 기부행동 예측모형: 합리적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 지각된 대학환경과 신입생의 학업중단 의도에서 대학경험의 매개효과
- 소나무 수관부 부위별 함수율 변화에 따른 탄소 배출량 분석
- 학생선수의 운동·학업 병행 속 정체성 위기: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비교 분석
-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지역위기 극복을 위한 지역화폐 활성화 방안 모색 청주시 청주페이를 중심으로
- TOC 농도 추정을 위한 최적 수질 인자 및 모델 선정
- ETCCDI 지수를 이용한 남한 지역의 기후변화 추이 분석
-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 수업의 성취도 예측요인: 초·중·고등학교 교사, 강사 및 과정 요인
- 한국 노인의 복합만성질환 유무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 영향요인 - 2020년 노인실태조사를 바탕으로 -
- 재해영향평가 유출량 매개변수 변화와 유출량의 상관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1권 제1호 목차
- 건강 신념 모델이 코로나19 백신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디어 유형별 신뢰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노인의 생애주기별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