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Impact of Generative AI Services on Us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Accept Technology: Focused on the UTAUT2 Model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전용식(Yongsik Jeon) 서동욱(Dongwook Seo) 박기윤(Keeyeon Park)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22권 제2호, 287~30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술 수용 및 사용에 관한 통합 이론인 UTAUT2 모델을 기반으로, 생성형 AI 서비스의 사용자 만족도와 지속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성과 기대, 노력 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 조건, 쾌락적 동기, 가격 가치, 습관, 신뢰 등의 요인이 사용자 만족도와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451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델링 기법 중 하나인 Smart PLS를 활용하여 각 요인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성과 기대, 노력 기대, 사회적 영향, 쾌락적 동기, 가격 가치, 습관, 신뢰는 사용자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촉진 조건은 사용자 만족도 및 지속 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사용자 만족도는 지속 사용 의도에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사용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성과 기대, 쾌락적 동기, 신뢰를 강화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생성형 AI 서비스의 수용 및 활용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확장하는 데 기여하며, 산업에서 사용자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실무적 전략 수립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impact of generative AI services on user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se services, us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2 (UTAUT2) model as a theoretical framework. Data were collected via an online survey from 451 users who have experience with paid generative AI services. The study investigates key factors including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hedonic motivation, price value, habit, and trus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using SmartPLS was employ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constructs. The results indicate that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hedonic motivation, price value, habit, and trust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nfluence user satisfaction, while facilitating conditions do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Furthermore, user satisfaction plays a crucial mediating role in shaping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generative AI services.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the extension of the UTAUT2 model in the context of emerging generative AI technologies and provide practical insights for service developers and marketers aiming to enhance user engagement and long-term service adop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국과 한국 국채시장의 상호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성인 여성의 연령대별 뷰티교육 참여의사와 콘텐츠 선호도 분석
-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 적응력을 매개로
- 중국 인구 고령화가 통화정책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TVP-VAR 및 ARDL 모형을 통한 실증분석
- 중국 이커머스 AI 큐레이션 서비스의 지각된 유용성, 사용자 저항, 사용의도에 대한 연구
- 이미지-콘텐츠 기반 관광상품 개발 - 지역 캐릭터를 활용한 도시 브랜딩 전략
- 공정한 기억전쟁과 망각의 조건에 대한 윤리학적 고찰: 비엣탄응웬의 픽션 <동조자>와 논픽션 <아무것도 사라지지 않는다>를 통합하여
- Echoes of Empire: The Procrastinated Decolonization of France’s ODA in Africa (1941-2016)
- 민주기억 공간의 설계 담론과 제도화 경로: 국립5·18민주묘지 기획의 변화와 현재적 함의
- 한국의 영국 차문화 연구동향
- 박병천류 진도북춤의 예술적 특성 고찰
- 지역성을 반영한 콘텐츠 K-연극 무대 연출 개발사례연구 - 연극 선유도령 장자아씨 공연 사례를 중심으로
- 보성군의 ‘M-I-P 순환형 모델’: 청년복지·문화산업·인구 유입의 통합 전략
- 중국인 유학생의 수업 및 학과만족도가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감성교육과 정주개념에 기반한 유학생 한국어교육의 이론적 재구성
- A Study on the Model of English Learning Motivation Types among Adult Learners
- 생성형 AI 서비스가 사용자 만족도와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UTAUT2 모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