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국과 한국 국채시장의 상호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9

영문명
An Empirical Study on the Mutual Impact of the British Government Bond Market and the Korean Government Bond Market
발행기관
아시아.유럽미래학회​
저자명
임병진(Byungjin Yim) 이동준(Dongjoon Lee)
간행물 정보
『유라시아연구』제22권 제2호, 23~3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01년 1월 6일부터 2023년 9월 2일까지 영국 국채시장과 한국 국채시장을 대표하여 나타내는 1,183개의 영국 5년 국채 이자율과 한국 5년 국채 이자율 주간 시계열 자료를사용하여 영국 국채시장과 한국 국채시장에 상호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를 하였다. 문헌적인 연구방법으로 영국 5년 국채 이자율과 한국 5년 국채 이자율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검토하였고. 실증적인 연구방법으로 연구에 사용할 시계열의 안정성 여부의 판정을 위한 영국 국채시장과 한국 국채시장의 단위근 검정, 영국과 한국 5년 국채 이자율 간의 장기적이며 안정적인 관계 존재의 여부 판정을위한 영국 5년 국채 이자율과 한국 5년 국채 이자율의 공적분(cointegration)검정, 변수 간의 상호 영향력 분석을 위한 영국 5년 국채 이자율과 한국 5년 국채 이자율의 VAR 모형을 이용한 예측오차의 분산분해기법과 영국 5년 국채 이자율과 한국 5년 국채 이자율의 충격반응 분석 및 영국 5년 국채 이자율과 한국 5년 국채 이자율의 Granger Causality 검정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영국 5년 국채 이자율과한국 5년 국채 이자율에 관한 연구의 중요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국 5년 국채 이자율과 한국 5년 국채 이자율 주간 자료의 수준 변수에 대한 안정성 검정 결과는 불안정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국 5년 국채 이자율과 한국 5년 국채 이자율의 주간 자료 차분변수에 안정성 검정 결과는 모두 안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영국 5년 국채 이자율과 한국 5년 국채 이자율의 주간 자료의 수준 변수 간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차분 변수는공적분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영국 5년 국채 이자율과 한국 5년 국채 이자율의 주간시계열 자료 간의 상관관계는 0.923435으로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영국 5년 국채이자율과 한국 5년 국채 이자율은 서로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는 있는 관계임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다섯째, 영국 5년 국채 이자율 분산분해에서 영국 5년 국채 이자율의 변화는 영국 5년 국채 이자율 자체의 내재적 변화가 98.86% 이상을 설명하고 있고, 한국 5년 국채 이자율의 설명력은 1.14% 미만을설명하고 있다. 반면에 한국 5년 국채 이자율 분산분해에서 한국 5년 국채 이자율의 변화는 한국 5년국채 이자율의 내재적 변화가 82.59%이상을 설명하고 영국 5년 국채 이자율의 설명력은 17.41% 미만을 설명하고 있다. 여섯째, 한국 5년 국채 이자율 변화는 영국 5년 국채 이자율 변화에 대한 그레인저인과관계 분석을 위한 시차는 SC기준(Schwarz information criterion)에 의하여 추정 시차는 과거 2차로 분석하였다. 일곱째, 한국 5년 국채 이자율 변화는 영국 5년 국채 이자율 변화에 1% 유의수준에서그레인저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국 5년 국채 이자율 변화는 한국 5년 국채 이자율 변화에 1% 유의수준에서 그레인저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국채시장과 한국 국채시장에 관한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다양하고 충분한 데이터가 없다는 것이다. 영국 국채시장과 한국 국채시장에 상호 미치는 영향을 세밀하게 분석하려면 5년 국채 이자율 자료외에 다양한 자료로 분석을 해야 만이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 현재까지 영국 국채시장과 한국 국채시장에 관한 국채 이자율 외에 다양한 자료가 없어서 영국 국채시장과 한국 국채시장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러나 향후 영국 국채시장과 한국 국채시장에 관한 다양한 자료가 제공된다면 다양한 자료를 이용하여 세밀한 영국 국채시장과 한국 국채시장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mutual influences between the UK government bond market and the Korean government bond market using 1,183 weekly time series data points of the UK 5-year government bond yield and the Korean 5-year government bond yield, covering the period from January 6, 2001, to September 2, 2023.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examine prior research on the UK 5-year government bond yield and the Korean 5-year government bond yield. For the empirical analysis, several methods were employed: unit root tests to assess the stationarity of the time series, cointegration tests to investigate the presence of long-term stable relationships between the UK and Korean 5-year government bond yields, and a VAR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mutual influences between the variables using forecast error variance decomposition and impulse response functions. Additionally, the Granger causality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causal relationships. The main empirical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ationarity tests of the level variables for the weekly UK and Korean 5-year government bond yields indicated non-stationarity. Second, after first differencing, the stationarity tests showed that the differenced variables were stationary. Third, the cointegration test revealed no cointegration relationship among the level variables, whereas a cointegration relationship was found among the differenced variables. Four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weekly UK 5-year government bond yield and the Korean 5-year government bond yield was 0.923435, indicating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suggesting that the two markets exert some degree of influence on each other. Fifth, in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the changes in the UK 5-year government bond yield were explained by its own intrinsic movements by more than 98.86%, with less than 1.14% explained by the Korean 5-year government bond yield. In contrast, the changes in the Korean 5-year government bond yield were explained by its own intrinsic movements by more than 82.59%, and by the UK 5-year government bond yield by less than 17.41%. Sixth, the lag length for the Granger causality analysis was determined to be two lags based on the Schwarz information criterion (SC). Sevent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anges in the Korean 5-year government bond yield Granger-cause changes in the UK 5-year government bond yield at the 1% significance level, and vice versa, indicating that changes in the Korean yield have a causal effect on the UK yield, and changes in the UK yield have a causal effect on the Korean yield.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e lack of diverse and sufficiently comprehensive data. To conduct a more detailed analysis of the mutual influences between the UK and Korean government bond markets, it is necessary to include additional data beyond the 5-year government bond yield. However, due to the current lack of various data related to the UK and Korean government bond markets, this study relied solely on the available yield data. Future research should continue to investigate the UK and Korean government bond markets using a wider range of data as they become available, to allow for a more thorough and nuanced analysis.

목차

Ⅰ. 서론
Ⅱ. 기존 문헌 연구
Ⅲ. 연구자료 및 연구모형
Ⅳ. 실증연구 결과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병진(Byungjin Yim),이동준(Dongjoon Lee). (2025).영국과 한국 국채시장의 상호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유라시아연구, 22 (2), 23-39

MLA

임병진(Byungjin Yim),이동준(Dongjoon Lee). "영국과 한국 국채시장의 상호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유라시아연구, 22.2(2025): 23-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