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산재근로자의 일상생활수행 장애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잠재프로파일 유형 분류: 영향요인과 잠재프로파일별 일상생활만족도와 직무만족도 차이 검증
이용수 0
- 영문명
- Latent Profile Identification and Prediction on Disabilit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mong Injured Workers: Focusing on Daily Lif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직업재활학회
- 저자명
- 김동현
- 간행물 정보
- 『직업재활연구』제35권 제2호, 139~15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의 일상생활수행 장애,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일상생활만족도 및 직무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 유형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산재보험패널조사 제2차 코호트 중 5차 자료 중 직장에 복귀한 1,665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산재근로자의 잠재프로파일 유형은 ‘보통군’, ‘높은 자기개념군’, ‘일상생활수행 장애군’, ‘취약군’의 4개로 분류되었다.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일상생활만족도와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 장애등급, 사회경제적 지위, 결혼상태, 근로소득이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산재근로자의 신체, 심리⋅정서적 어려움에 대한 개입 방안과 일상생활 및 직무만족도 증진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latent profile types based on disabilit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mong injured workers, and to explore factors associating these profiles and differences in daily lif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latent profile types. To achieve this, the author analyzed data from the 5th wave of the 2nd cohort of the Occupational Injury Insurance Panel Survey, targeting 1,692 individuals who returned to work. The latent profile types of disabilit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mong injured workers were confirmed to consist of four latent groups: ‘normal group’, ‘high self-realization group’, ‘disabilit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group’, and ‘vulnerable group’.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resolving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injured workers and improving quality of life a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증 여성장애인의 고용차별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노동시장에서의 이중차별 중심으로
- 산재근로자의 일상생활수행 장애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잠재프로파일 유형 분류: 영향요인과 잠재프로파일별 일상생활만족도와 직무만족도 차이 검증
- 고용의무사업체 장애인 근로자 일자리 이동 분석
- 원직장에 복귀한 산재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 상태가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업무수행 능력의 매개효과와 인지된 스트레스 관리 수준의 조절효과
- 발달장애 직업교육 특성화특수학교의 NCS 기반 전문교과 개설 방안
-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 사업의 성과와 과제: 경기도 사업 이해관계자 관점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중증 여성장애인의 고용차별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노동시장에서의 이중차별 중심으로
- 산재근로자의 일상생활수행 장애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잠재프로파일 유형 분류: 영향요인과 잠재프로파일별 일상생활만족도와 직무만족도 차이 검증
- 고용의무사업체 장애인 근로자 일자리 이동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