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무용의 민족 정체성 재현에 대한 심미 정치학적 논의
이용수 0
- 영문명
- An Aesthetic-Political Inquiry into the Performative Representation of National Identity in North Korean Dance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민주평화연구원
- 저자명
- 문복주(Bokju Moon)
- 간행물 정보
- 『민주평화연구』제8권 제1호, 161~18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that North Korean dance, often regarded as a symbolic tool of ideological propaganda, can also function as an aesthetic-political space of affective engagement. Building on Roland Bleiker’s theory of aesthetic politics, the research shifts focus from fixed representational meaning to the gaps and tensions within choreographic form, wherein affective responses emerge. The study analyzes two emblematic performances from the 1999 and 2003 Pyongyang concerts, examining spatial asymmetry, gestural silence, visual dispersal, and the role of the female body in relation to collective formations. Through this lens, North Korean dance is not simply reproducing national identity but performing it through affective structures that invite interpretation, negotiation, and emotional resonance. The method involves a theoretical application of aesthetic-political concepts to specific visual and choreographic elements, referencing Barthes’ différance and Forsythe’s choreographic object theory. This approach reveals the potential for political imagination even within rigid artistic forms. The findings suggest that North Korean dance creates moments of felt dissonance that open space for identity to be sensed rather than proclaimed, thereby reconstituting it performatively.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aesthetic turn in Korean studies and offers a new paradigm for interpreting tightly controlled cultural production through the politics of feeling.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심미 정치학과 감응의 이론 지형
Ⅲ. 선행연구 검토
Ⅳ. 분석의 틀
Ⅴ. 사례 분석 1: 1999년 평양공연
Ⅵ. 사례 분석 2: 2003년 평양공연
Ⅶ. 논의: 재현과 감응 사이의 공간
Ⅷ.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립묘지 문화공원화 담론과 방안에 대한 사례연구: 국립5·18민주묘지 사례와 소비자구성주의 스토리텔링 활용을 통한 재정자립형 모델을 중심으로
- 학교폭력 해결을 위한 법과 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베트남인 아버지의 성공과 미국인 남편의 실패: 레 리 헤이슬립의 자서전 『하늘과 땅』과 각색 영화 <하늘과 땅>의 차이로서 선불교의 독립과 평화실천관
- 일본 킨츠기(金継ぎ) 차문화에 나타난 상흔의 미학과 평화기술의 함의
- 통신금융사기 연구동향 분석: 학제 간 접근과 실천 가능성 검토
- 북한 무용의 민족 정체성 재현에 대한 심미 정치학적 논의
- 보험사기 방지를 위한 수익자 적격성 기준의 제도화와 공공성 확보 방안: 전세보증보험을 중심으로
- 지방대학 간호학과의 성인친화형 제도 도입을 위한 평생교육적 유연성과 공공성 연구
- 도시지역 독거노인 말벗 도우미의 가정방문 효과 분석 - 광주광역시 서구를 중심으로
- 동독 평화혁명시 군의 비개입 요인 분석과 시사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