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Good, the Bad, the Weird Revisited: on Visual-Verbal Disjunction and the Specter of the Unknowable Subject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 저자명
- Inhye Han
- 간행물 정보
- 『국제문화연구』Vol.18 No.1, 473~50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article analyzes Kim Jee-woon's The Good, the Bad, the Weird to explore previously underexamined aspects of the film and reconsider its critical implications through a comparative study with Sergio Leone's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It demonstrates how the film spatializes Manchuria through a dynamic of verbal anchoring and visual obfuscation, with the resulting disjunction between word and sight propelling the audience from the mid-1930s to the late 1930s. Challenging the prevailing critical consensus on the protagonists' moral ambiguity, the article shows how Kim's Manchurian Western reclaims a sense of moral legibility by both rewriting the Spaghetti Western’s moral indeterminacy and eschewing Hollywood’s good-versus-evil binary. In addition, an analysis of extended action sequences underscores how the protagonists' invincibility gives rise to a heightened sense of agency, despite their colonial and migrant status. The essay further explores how the visible yet unnamed treasure, as an inverse form of visual-verbal disjunction, exposes the structural constraints on the protagonists’ agency. Finally, whereas earlier scholarship construed the treasure as the film's central narrative void, this study contends that the true void lies in the protagonist's unspoken dreamㄧan absence that resists interpretive closure with respect to his existential core, whether ideological or otherwise.
영문 초록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anchuria: Anchored in Words, Obscured in Sight
Ⅲ. The Weird and the Good: Reclaiming Ethics Beyond the Binary
Ⅳ. Action Sequences: Invincibility and Agency
Ⅴ. Comedic Elements
Ⅵ. Unnamed Treasure, Unspoken Dream
Ⅶ.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제문화연구 제18권 제1호 목차
- 경계 위의 민족성: 발칸의 민족성과 현대 크로아티아 문화정체성의 재구성 고찰
- 대만 남투현 차문화의 지역성 및 차산업 발전 전략에 관한 연구
- 중국 지린성과 한국 전라남도의 평생교육 기관과 활동에 대한 비교 연구
- 정주형 한국어교육 정책 분석과 감성교육의 연계 가능성
- 한국과 일본의 국가수준 교육과정 내용 비교: 유아교육과정의 영역별 목표와 내용을 중심으로
- 싱가포르 만다린의 지위 변화와 그 함의
- 다문화 공영을 위한 문화소통 연구 - 다문화발전과 공존을 위한 집단지성 형성을중심으로
- 문화다양성 시대의 지역문화거점 간 리좀형 협력망 모델 연구
- 디지털 성범죄의 변화양상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 정서·행동장애학생 혹은 정서·행동장애 위험군을 대상으로 실시된 긍정적행동지원에 대한 범위연구
- 항공사 사고 특성별 서비스 회복 전략의 비교 연구 -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시니어 여성의 자기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메이크업 학습모듈 개발 - NCS 기반 설계
- 도시재생사업 인지 요인이 정신적·사회적 웰니스(Wellness)에 미치는 영향
- The Good, the Bad, the Weird Revisited: on Visual-Verbal Disjunction and the Specter of the Unknowable Subject
- 낮아진 인구밀도가 합계출산율에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 분석: 국가별 여성 평등지수와 1인당 GDP의 차이를 중심으로
- K-연극 개발을 위한 전통극 무대 요소의 창의적 융합방안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교육에 관한 요구조사 - 베트남 학생을 중심으로
- 『표준 한국어 의사소통』 고학년 교재의 주제 구성과 문화 활동 재구성 연구
- 희생자로서의 역사 다시 쓰기 - 마가렛 애트우드의 핸드메이드 이야기와 증언들
- AI_인문사회 기반 ‘융합형 AI 인재양성’ - 사회문화 변화에 대응한 학제 간 융합 전략
- 항공전공자의 전공만족, 학과충성도, 취업준비행동 간 인과관계 분석
참고문헌
- China Review
- Columbia University Press
- Harvard University Press
- Cinema Journal
- Rutgers University Press
-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 Deconstructions: A User's Guide
- Faber and Faber
- I.B.Tauris
- Fordham University Press
- MIT Press
- Mosaic
- CJ Entertainment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Korea Journal
-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Journal of Film and Video
- Trans Pacific Press
- Tongyanghak
- Taejung Sŏsa Yŏn'gu
- W. W. Norton & Company
- Routledge
- Cornell University Press
- Kyoto Daigaku Gakujutsu Shuppankai
- Korean Classic Film
- Pigyo Munhak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