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 공영을 위한 문화소통 연구 - 다문화발전과 공존을 위한 집단지성 형성을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Cultural Communication for Multicultural Co-prosperity: Centering on the Form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for Multicultural Development and Coexistence
발행기관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저자명
이미희(Mi Hee Lee)
간행물 정보
『국제문화연구』Vol.18 No.1, 287~31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mplex nature of 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conflicts within the evolving sociocultural context of Korean society. It seeks to develop strategies and methodologies that promote mutual respect among diverse cultural groups and contribute to collective prosperity. Multicultural society is defined as a social structure where individuals of various nationalities, races, and cultures coexist, emphasizing cultural diversity and equality. The study particularly focuses on methods for connecting different foreign cultures within a single community space and minimizing cultural conflict and confusion. It also investigates the form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that supports social advancement through effectiv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hapter 2 provide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multicultural conflicts in Korea, identifying current limitations and potential improvements in conflict understanding, investigation, and management. Chapter 3 outlines key theori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argues for a model adapted to Korea’s unique context. As an alternative, the study proposes the “Bibimbap Theory,” inspired by the harmony of mixed ingredients in the traditional Korean dish. Chapter 4 explores methodologies for cultural communi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ollective intelligence to foster coexistence and prosperity. Ultimately, the study aspires to resolve contradictions in multicultural society and offer a vision of inclusive hope and improved quality of life.

영문 초록

목차

1. 머리말
2. 한국사회의 다문화갈등과 특성
3. 다문화와 문화소통론 검토
4. 다문화 공영을 위한 집단지성의 문화소통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미희(Mi Hee Lee). (2025).다문화 공영을 위한 문화소통 연구 - 다문화발전과 공존을 위한 집단지성 형성을중심으로. 국제문화연구, 18 (1), 287-317

MLA

이미희(Mi Hee Lee). "다문화 공영을 위한 문화소통 연구 - 다문화발전과 공존을 위한 집단지성 형성을중심으로." 국제문화연구, 18.1(2025): 287-3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