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단기 금리급변기 동적패널모형을 활용한 서울시 아파트 전세가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Determinants of Seoul-si Apartment Cheonsei Prices Using Dynamic Panel Model during Short-term Interest Rate Fluctuations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 저자명
- 정인환(Inhwan Chung) 이원석(Wonseok Lee) 호태경(Taegyeong Ho)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융복합연구』제5권 제2호, 153~17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이 경제성장과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서울의 인구 집중이 심화되었고,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주거형태는 아파트였다. 경제성장 과정에서 필요에 의해 생겨난 주거형태였던 아파트는 대규모 단지와 보안, 공공시설, 커뮤니티 시설 등 고급 상품이 상용화되면서 가장 선호되는 주거형태가 되었다. 아파트는 가격 차이에 대한 투자목적의 교환가치와 의식주를 구성하는 실제 주거의 사용가치로 구성된 상품이다. 기존 주택에 관한 연구는 장기적인 시계열분석과 교환가치에 중점을 두었고, 매매가와 거시경제 변수의 관계, 매매가와 정책 변수, 사회환경 변수의 관계 등 매매가와 관련된 주제가 많았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단기 금리급등기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기간을 단기간으로 제한하고, 아파트의 사용가치인 실거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를 장기간이 아닌 단기 금리 급등기간으로 한정하고, 서울시 대규모 아파트 단지 전세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거시경제 변수 등 시계열과 입지 요인, 브랜드, 준공연도 등 단지의 개별 특성 등 횡단자료 특성변수들이 전세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동시에 분석하기 위해 동적 패널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단기 금리가 급등하는 기간에는 단위당 금리변동이 전세가격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가구수가 많을수록 하락폭이 컸고, 역세권 입지의 단지가 가격 하락폭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As Korea grew economically and urbanized,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 Seoul intensified, and the most effective form of housing to accommodate this was apartments. Existing studies on housing products focused on long-term time frames and exchange value. This study limited the time frame of the study to a short-term specific period due to the short-term interest rate fluctuates after COVID-19, and focused on the factors affecting actual residence. The time fram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short-term interest rate surge instead of the long-term,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Cheonsei price instead of the sale price were analyzed. Dynamic panel analysis was used to simultaneously analyze variables affecting the Cheonsei price, including macroeconomic variables, location factor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large complexes such as brands and years of construction.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during the period of rapid short-term interest rate increases, the unit interest rate change greatly affected the pri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동산융복합연구 제5권 제2호 목차
-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와 등기의 위헌성 및 개선방안 연구
- 전세사기의 구조적 특성과 확산 양상에 대한 실증분석
- 임대차계약 갱신시 월세비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 서울 민간임차가구의 주거불안감이 주택성능 및 주거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전주시 가로주택정비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 지방 광역시의 구도심·신도심 주거용 오피스텔 가격 결정요인 비교 연구 - 광주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 단기 금리급변기 동적패널모형을 활용한 서울시 아파트 전세가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공정시장가액비율 변화가 아파트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평택시 아파트 매매가격 결정요인의 동태적 분석: VECM 기반 실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