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택시 아파트 매매가격 결정요인의 동태적 분석: VECM 기반 실증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Determinants of Apartment Sale Prices in a Rapidly Growing City: A VECM Based Analysis of Pyeongtaek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 저자명
- 오세준(Saejoon Oh)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융복합연구』제5권 제2호, 107~12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평택시를 사례로 아파트 매매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2017년 5월부터 2025년 1월까지의 월간 시계열 데이터를 바탕으로 아파트 매매거래량, 미분양 물량, 통화량(M2), 소비자물가지수(CPI), 회사채 수익률, 전세가격 등 다양한 변수가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변수 간 장기적 균형관계와 단기적 조정 과정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벡터오차수정모형(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을 적용하였다.
충격반응분석 결과, 전세가격과 매매거래량이 아파트 매매가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 수요 측 요인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반면, 통화량이나 금리 등 거시경제 변수는 상대적으로 낮은 설명력을 보였다. 분산분해 결과에서도 평택시 아파트 시장은 외생적 거시 변수보다 지역 내 수급 요인에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급격한 도시 성장을 경험한 평택시 사례를 통해 지역 부동산시장의 구조와 가격 결정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으며, 향후 유사한 성장도시의 주택정책 수립에 유용한 실증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key factors influencing apartment sales prices in Pyeongtaek, a rapidly growing city in South Korea. Using monthly time-series data from May 2017 to January 2025, the analysis examines variables such as transaction volume, unsold housing units, money supply (M2), consumer price index (CPI), corporate bond yields, and Jeonse (lease) prices. To capture both the long-term equilibrium relationships and short-term adjustments among these variables, a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 is employed.
The results of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indicate that lease prices and transaction volume exert the most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apartment sales price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demand-side factors. In contrast,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money supply and interest rates exhibit relatively low explanatory power.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yields consistent results, suggesting that Pyeongtaek’s housing market is more sensitive to local supply–demand dynamics than to broader macroeconomic shocks.
By conducting a quantitative analysis focused on Pyeongtaek, this study identifies the structural mechanisms driving housing price formation in locally dynamic markets.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to support the formulation of effective housing policies in other cities undergoing similar patterns of urban growt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의 틀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동산융복합연구 제5권 제2호 목차
-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와 등기의 위헌성 및 개선방안 연구
- 전세사기의 구조적 특성과 확산 양상에 대한 실증분석
- 임대차계약 갱신시 월세비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 서울 민간임차가구의 주거불안감이 주택성능 및 주거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전주시 가로주택정비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 지방 광역시의 구도심·신도심 주거용 오피스텔 가격 결정요인 비교 연구 - 광주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 단기 금리급변기 동적패널모형을 활용한 서울시 아파트 전세가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공정시장가액비율 변화가 아파트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평택시 아파트 매매가격 결정요인의 동태적 분석: VECM 기반 실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