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주시 가로주택정비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Jeonju block-unit housing development projects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 저자명
- 이세용(Se yong Lee) 김정희(Jeong hee Kim) 장미영(Mi young Chang)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융복합연구』제5권 제2호, 125~15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가로주택정비사업은 2012년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이하 도정법이라 한다) 개정을 통해 처음 도입되었으며, 소규모로 진행되기 때문에 사업속도가 빠르고 원주민의 재정착률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 있어 기존 정비사업의 단점을 보완하고 있다.
이러한 장점과 더불어 정부의 다양한 활성화 대책에도 불구하고 완공된 사례를 찾아보기 힘든 상황에서도 신규아파트에 대한 수요로 인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시행되어졌으나 점차 인구 규모가 50만에서 100만명 이하인 지방 대도시에서도 시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최근 물가상승으로 인한 공사비 상승과 대출규제강화에 따른 미분양 등으로 부동산경기가 침체를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신규아파트의 분양가가 낮은 지방 대도시에서의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추진은 더욱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로주택정비사업 본연의 목적인 빠른 사업추진을 통한 수익성추구를 높이는데 기여함은 물론 대표적인 국내 지방대도시 중 전주시에서의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성공을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 요인 중 사업성측면의 변수의 중요도가 가장 높았으며 자금지원, 법적규제완화, 주민인식, 이주방안 등의 순으로 가로주택정비사업의 활성화에 있어 필요한 요소로 평가되었다. 가로주택정비사업계획 수립시 지역의 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사업성의 지표가 되는 비례율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지자체의 공공참여를 통해 사업자금 및 행정업무의 지원을 받아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지방대도시 가로주택정비사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업성 확보이며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block-unit housing development project was first introduced in 2012 and it complements the shortcomings of the existing maintenance project in that it can speed up the project and increase the resettlement rate of indigenous people.
In addition to these advantages, it was implemented mainly in the metropolitan area due to the demand for new apartments despite the government's various revitalization measures, but it is gradually being implemented in large local cities with a population of less than 500,000 to 1 mill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contribute to increasing profitability through rapid business promotion, which is the original purpose of the block-unit housing development project, as well as to revitalize the success of the block-unit housing development project in Jeonju among representative local cities in Korea. For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the block-unit housing development project in Jeonju, the importance of the block-unit housing development project was analyzed through Fuzzy-AHP.
Based on the results,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high need for research on the aspect of business feasibility that can increase profitability through rapid business promotion, which is the original purpose of the project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the block-unit housing development projec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설계 및 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동산융복합연구 제5권 제2호 목차
-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와 등기의 위헌성 및 개선방안 연구
- 전세사기의 구조적 특성과 확산 양상에 대한 실증분석
- 임대차계약 갱신시 월세비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 서울 민간임차가구의 주거불안감이 주택성능 및 주거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전주시 가로주택정비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 지방 광역시의 구도심·신도심 주거용 오피스텔 가격 결정요인 비교 연구 - 광주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 단기 금리급변기 동적패널모형을 활용한 서울시 아파트 전세가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공정시장가액비율 변화가 아파트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평택시 아파트 매매가격 결정요인의 동태적 분석: VECM 기반 실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