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울 민간임차가구의 주거불안감이 주택성능 및 주거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mpact of Housing Insecurity on Housing Performance and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Among Private Rental Households in Seoul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 저자명
- 송선주(Seonju Song) 김형근(Hyungkeun Kim)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융복합연구』제5권 제2호, 85~10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주택임대시장에서 주택가격의 변동성과 월세 전환 증가, 임대보증금 미반환 문제의 발생으로 인해 임차가구의 주거불안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주거불안은 주택성능 및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임차가구가 느끼는 주거불안감을 중심으로 주택성능만족도와 주거환경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주거실태조사(2020-2022)의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아파트에 거주하는 경우, 전용면적이 넓은 경우, 환산임대료가 높은 경우, 가구의 경상소득이 높은 경우에 주택성능 및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구주의 연령이 높은 경우, 가구의 생활비 지출이 많은 경우, 임대료 상승에 대한 불안감이 높은 경우, 보증금미반환에 대한 불안감이 높은 경우 주택성능과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모두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 주택성능만족도 및 주거환경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임대료 상승에 대한 불안감과 보증금미반환에 대한 불안감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임차인의 주거불안을 야기하는 임대료상승에 대한 제도적 보완과 보증금미반환에 대한 보증제도에 대한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In the housing rental market, rising housing price volatility,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monthly rents, and issues related to deposit non-return have intensified housing insecurity among tenant households. This insecurity has become a key factor undermining satisfaction with housing performance an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is study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housing satisfaction, focusing on tenant households experiencing housing insecurity, using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with data from the Seoul Housing Survey (2020–2022). Satisfaction was higher among residents in apartments with larger exclusive areas, higher adjusted rent, and greater income, while it was lower among older household heads, those with higher living expenses, and those expressing concern over rent increases or deposit non-return. These findings highlight that anxiety about rent hikes and deposit recovery are critical in shaping housing satisfaction. Policy interventions addressing these concerns are essential to alleviate housing insecurity.
목차
Ⅰ. 서론
Ⅱ. 주거만족도와 주거불안에 대한 이해
Ⅲ. 연구 모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동산융복합연구 제5권 제2호 목차
-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와 등기의 위헌성 및 개선방안 연구
- 전세사기의 구조적 특성과 확산 양상에 대한 실증분석
- 임대차계약 갱신시 월세비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 서울 민간임차가구의 주거불안감이 주택성능 및 주거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전주시 가로주택정비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 지방 광역시의 구도심·신도심 주거용 오피스텔 가격 결정요인 비교 연구 - 광주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 단기 금리급변기 동적패널모형을 활용한 서울시 아파트 전세가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공정시장가액비율 변화가 아파트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평택시 아파트 매매가격 결정요인의 동태적 분석: VECM 기반 실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