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민간경비원의 고용불안정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냉소주의의 이중매개효과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Double-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ynic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Instability and Turnover Intention of Private Security Guards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이미화(Mi-Hwa Lee) 박주상(Ju-Sa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4券 第2號, 135~16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민간경비원이 인식하는 고용불안정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냉소주의의 이중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민간경비원의 고용불안정성, 이직의도,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냉소주의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정책적인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더불어 고용불안정성의 근무여건 속에서도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냉소주의의 중요성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서 민간경비원 4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9.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Process Macro Model 6을 이용하여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불안정성이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불안정성은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냉소주의에 유의미한 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냉소주의는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스트레스는 조직냉소주의에 유의미한 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간경비원의 고용불안정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냉소주의는 각각 매개효과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고용불안정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냉소주의를 투입했을 때 감소되었으며, 직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이중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ynic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instability and turnover intention perceived by private security guards. Through this, it is to present policy alternatives to effectively manage employment instability,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ynicism of private security guards.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ynicism was verified even in the working conditions of employment instability.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434 private security guard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9.0,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were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Model 6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mployment instab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Employment instabil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ynicism, and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ynicism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it was found that job str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ynicism.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ynicism each play a role of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affecting the employment instability of private security guards on turnover intention.
Third, the influence on employment instability and turnover intention was reduced whe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ynicism were add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irect effect was a complete double mediating effect as it was considered that the direct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설계
Ⅳ. 연구의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관의 성격특성과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 내 무례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CPTED)의 범죄예방 효과성에 대한 소고(小考)
- 교제폭력 피해자 보호의 실효적 방안에 대한 질적연구 - 경찰의 단계별 대응을 중심으로
- 학교 밖 청소년의 비행 피해 경험이 비행 가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_사회적 차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민간경비원의 고용불안정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냉소주의의 이중매개효과 연구
- 요인테러 위해수단에 대한 가중원리 및 선택 핵심요소 모델 연구
- 동남아시아 드론위협 양상에 따른 대드론체계 발전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관의 성격특성과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 내 무례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CPTED)의 범죄예방 효과성에 대한 소고(小考)
- 교제폭력 피해자 보호의 실효적 방안에 대한 질적연구 - 경찰의 단계별 대응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