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령 장애인의 주거환경과 안전 인식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차별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afety Perception among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Discrimination
- 발행기관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정지홍(Ji-Hong Ch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제55호, 145~16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령 장애인의 주거환경과 안전 인식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와 주거환경 만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차별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장애인 삶 패널 3차 년도 자료 중 각 변수에 모두 응답한 고령 장애인 2.161명을 추출하였다. SPSS 26.0과 PROCESS Macro를 활용 빈도분석, 신뢰도, 회귀분석 및 매개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고령 장애인의 주거환경과 안전 인식 관계에서 우울은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주거환경과 우울 관계에서 차별인식은 조절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주거환경, 우울, 안전 인식 관계에서 차별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주거환경과 안전 인식 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우울의 매개효과와 차별인식의 조절 효과를 결합한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을 새롭게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에 따라 고령 장애인들의 욕구와 장애 특성을 반영한 주거환경 수리와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심리지원 및 일상생활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 보급을 통해 고령 장애인 당사자 스스로 필요한 정보와 제도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afety perception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discrimination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Data of the 3rd Disability Life Panel Survey (DLPS) were used for analysis. Samples of this research were, 2,161 individuals who answered all variables. Frequency, reliability,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SPSS 26.0 and PROCESS Macro.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idential environment had a direct effect on safety perception. Second, residential environment induced depression and depression induced safety perception. Third, the perceived discrimination moderate effect was ascertained between residential environment and depres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management services, psychological support, and daily life support programs that reflect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elderly disabled people should be provided.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V.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 노인의 디지털 기기 활용과 우울의 관계에서 디지털교육서비스 지리적 접근성의 조절효과
- 발달장애인의 도전행동에 대한 융합돌봄 제공자의 딜레마 경험 -융합돌봄서비스 중심으로-
-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평생계획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고령 장애인의 주거환경과 안전 인식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차별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