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의 디지털 기기 활용과 우울의 관계에서 디지털교육서비스 지리적 접근성의 조절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Moderating Effects of Geographic Accessibility to Digital Education Servi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Device Use an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 발행기관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백세준(Se-Jun Baek) 박아람(A-Ram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제55호, 65~9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 디지털 기기 활용와 우울의 관계를 디지털교육서비스 지리적 접근성이 조절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주요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2023년 노인실태조사 2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주요 변수에 모두 응답한 노인 9,87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기술통계, 상관관계,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Hayes(2018)의 PROCESS Macro Model 1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디지털 기기 활용이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디지털 기기 활용 수준이 낮을수록 우울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디지털 기기 활용 수준이 낮을수록 우울이 증가하는 관계에서 디지털교육서비스 지리적 접근성이 좋을수록 이들의 관계를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디지털교육서비스 지리적 접근성이 좋으면 낮은 디지털 기기 활용 수준으로 인한 우울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디지털 기기 활용 능력 향상과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 디지털교육서비스 지리적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moderating effects of geographic accessibility to digital education servi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device us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Utilizing secondary data from the 2023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analysis was based on a sample of 9,875 older adults who provided complete responses to all key variable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to address research questions. Moder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ROCESS Macro Model 1 (Hayes, 2018).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gital device use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 with depressive symptoms, suggesting that lower levels of digital engagement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ographical accessibility to digital education servic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greater accessibility buffering an adverse impact of limited digital device use on depres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nhancing physical access to digital education services might mitigate mental health risks associated with digital exclusion in later lif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promoting digital inclusion and addressing mental health disparities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 노인의 디지털 기기 활용과 우울의 관계에서 디지털교육서비스 지리적 접근성의 조절효과
- 발달장애인의 도전행동에 대한 융합돌봄 제공자의 딜레마 경험 -융합돌봄서비스 중심으로-
-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평생계획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고령 장애인의 주거환경과 안전 인식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차별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