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평생계획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용수 0
-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Permanency Plan among Parents of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안수영(Su-Young An)
- 간행물 정보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제55호, 125~14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평생계획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모의 개인적 요인(연령, 학력, 경제수준, 회복탄력성), 사회적 요인(자조집단의 지지, 사회적 지지), 자녀 특성 요인(자녀 연령, 월평균 근로소득, 일상생활 수행능력) 간의 관계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1단계에서는 부모의 연령, 회복탄력성이 평생계획 설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2단계에서는 부모의 연령, 회복탄력성과 자조집단의 지지가 정적 영향을 미쳤다. 3단계에서는 부모의 회복탄력성, 자조집단의 지지, 자녀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자녀의 월평균 근로소득이 모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자녀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자조집단의 지지, 부모의 회복탄력성, 자녀의 월평균 근로소득 순서로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부모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심리·정서적 지원과 실질적인 평생계획 설계를 지원하는 체계적 기반 마련이 요구된다. 또한 부모에게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자조모임 활성화 및 자녀의 자립생활역량을 높이기 위한 통합형 교육 프로그램 제공을 제언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the design of a Permanency Plan by parents of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individual factors (age, education level, economic status, resilience), social factors (support from self-help groups, social support), and child-related characteristics (child’s age, average monthly income, and daily living skills).
Results showed that in the first stage, parental age and resili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design of the Permanency Plan. In the second stage, support from self-help groups was added to these factors. It also showed a positive effect. In the third and final stage, parental resilience, support from self-help groups, the child’s daily living skills, and the child’s average monthly income all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Among these, the child’s daily living skills, support from self-help groups, parental resilience, and the child’s average monthly income had the greatest influences in that order.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systems to enhance parental resilience and to develop practical support systems for designing Permanency Plans. Additio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promote self-help groups that offer substantial support to parents and provid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independent living skills of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 노인의 디지털 기기 활용과 우울의 관계에서 디지털교육서비스 지리적 접근성의 조절효과
- 발달장애인의 도전행동에 대한 융합돌봄 제공자의 딜레마 경험 -융합돌봄서비스 중심으로-
-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평생계획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고령 장애인의 주거환경과 안전 인식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차별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