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의 사회활동과 삶의 만족도 : 성공적 노화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중심으로
이용수 3
- 영문명
- Social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 Policy Implications for Successful Aging
- 발행기관
- 한국자원봉사학회
- 저자명
- 김남희(Nam-hee Kim) 정진경(Jin-kyung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와 자원봉사연구』제7호, 59~8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성공적 노화를 위한 정책에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20년 노인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84세 이하 노인 9,310명을 분석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정기적 운동 여부, 장애판정 여부, 가구총수입, 가구총자산, 거주형태, 가구형태, 공적연금 수급 여부 등 인구사회학적·경제적 요인들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원봉사활동은 삶의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제활동, 학습활동, 종교활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사회활동 간 상호작용 효과의 분석 결과, 경제활동과 자원봉사활동을 병행하는 경우, 삶 의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강화 및 실비 지원 확대, 그리고 노인일자리 및 사회 활동 지원사업 중 공익활동 유형의 확대 시행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전략으로 선택·적정화·보완(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SOC)이론의 적용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social participation on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and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successful aging. Using data from the 2020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o-demographic and economic factors such as gender, education level, subjective health status, regular physical activity, disability status, household income, total assets, housing tenure, and public pension receipt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Second, among various forms of social participation, only volunteering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contrast, economic activities, lifelong learning, and religious participation did not have statistically meaningful impacts. Third, an interaction analysis of social activity types revealed that older adults who engaged in both economic activities and volunteering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life satisfaction compared to those who participated in only on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strengthening policy support for volunteer engagement among the elderly, expanding reimbursement for senior volunteers, and enhancing public interest activity programs within the Senior Employment and Social Activity Support Project. Furthermore, the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SOC) model is proposed as a useful theoretical framework to guide strategies for successful aging.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85권 목차
- The impact of multimorbidity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ng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