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집1] 헌재의 양심적 병역거부 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용수 0
- 영문명
- Critical Review of the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regarding Conscientious Objection
- 발행기관
- 헌법재판연구원
- 저자명
- 정연주(Jung Yon-Ju)
- 간행물 정보
- 『헌법재판연구』제5권 제1호, 3~3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주로 여호와의 증인신도들을 중심으로 해서 논의되어 온 양심적 병역거부의 문제는 오래전부터 우리
사회에서 끊임없이 제기되어 온 주제이다. 병역법 제88조 제1항은 정당한 사유없이 입영을 기피할 경우
형사처벌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대법원판례에 따라 양심적 병역거부는 정당한 사유에 해당하지 아니
하여 결국 이 조항에 의해 병역법상 양심적 병역거부는 인정되지 않아 지금까지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은
예외 없이 형사처벌을 받아 왔다. 이들은 자신의 종교적 신념 내지 양심에 비추어 집총병역의무는 결코
이행할 수 없으니 다른 대체복무를 허용해달라고 간청하면서, 양심적 병역거부를 허용하지 않고 대체복
무를 인정하고 있지 아니한 병역법은 자신들의 양심의 자유를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헌법재판소는 두 차례에 걸쳐 병역법 제88조 제1항이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고 판시했고, 대
법원도 같은 취지의 판결을 내리고 있다. 반면 국가인권위원회는 양심적 병역거부를 인정하고 대체복무
제의 도입을 권고한 바 있다.
그러나 양심의 자유의 보장은 도외시한 채 일방적으로 국방의 의무를 우선시켜 양심적 병역거부자들
을 형사처벌하는 것은 헌법상 도저히 정당화될 수 없다. 이는 병역법 제88조 제1항이 헌법에 위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헌법상의 규범조화적 헌법해석의 원칙, 비례의 원칙, 평등의 원칙, 헌법 제10조의 국
가의 기본권보장의무, 국제법존중의 원칙 등 다양한 헌법규정과 원칙에 위반되는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양심적 병역거부자와 그렇지 아니한 자를 가려낼 수 있는 사전심사 및 사후관리제도를 마련하고,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에게 병역면제의 혜택을 준다는 인식을 불식시킬 수 있을 수준의 대체복무의 내용과 종류를
마련하며, 현역복무와 대체복무 사이의 형평성과 등가성을 확보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과 부작용 및 부
정적 파급효과를 해결하는 제도이어야 한다는 전제하에서 대체복무의 도입은 더 이상 미룰 수 없고, 이
는 입법자의 헌법상 의무이다. 결국 그러한 대체복무를 통한 양심의 자유와 국방의 의무와의 조화를 도
모하는 해결책을 마련하지 아니하여 결과적으로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에게 징역형의 형사처벌만을 부과
할 수밖에 없도록 규정하고 있는 병역법 제88조 제1항은 헌법에 위반된다.
영문 초록
The issue of conscientious objection which has been raised mostly by Jehovah’s
Witnesses has a very long history in our society. § 88 Military Service Act prescribes
anyone who refuses to serve in the military without legitimate reason will be punished
to imprisonment under 3 years. According to the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the conscientious objection does not belong to the legitimate reason. Therefore, the
conscientious objectors have been punished over for 5 decades without excep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 88 Military Service Act constitutional, arguing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alternative service belongs to the discretion of lawmakers,
and that military duty is prior to the freedom of conscience. The Supreme Court
ruled with similar reasoning. On the contrar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recommended the acknowledgement of conscientious objection and the
introduction of the alternative service.
However, the unilateral preference of the military duty to the freedom of
conscience cannot be justified according to our constitution, which means § 88
Military Service Act is unconstitutional. That is, the paragraph contravenes the
principle of harmonious interpretation of constitution,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the principle of equal opportunity, the duty of state concerning
guaranteeing constitutional rights according to Article 10 of Constitution, and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alternative service is mandatary, not
discretionary. It is natural the service should provide reasonable criteria, process,
and contents which the people can understand, agree and accept. In conclusion,
§ 88 Military Service Act is unconstitutional unless it introduces the alternative service
acknowledging the conscientious objec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집1] 양심적 병역거부 불인정의 위헌성을 확인했을 때 적절한 헌법재판소 결정유형
- [특집2] 일본국헌법의 “헌법개정”과 “헌법변동”
- 헌법개정의 역사와 이론
- 토양환경보전법 토양오염부지 소유자의 정화책임 조항에 대한 헌법불합치 결정(헌재2010헌바167사건)에 관한 소고
- [특집1] 헌재의 양심적 병역거부 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특집2] 헌법개정에 관한 고찰
- 군내 불온서적 금지에 대한 헌법재판소 결정과 불온서적 금지 헌법소원심판청구로 인한 징계 취소 대법원 판결에 대한 검토
- 군내 불온서적 금지에 대한 헌법재판소 결정과 불온서적 금지 헌법소원심판청구로 인한 징계 취소 대법원 판결에 대한 검토
- [특집2] 헌법개정과 헌법변천 독일 헌법에서 안정성(Stabilität)과 역동성(Dynamik)의 관계에 대한 고찰
- 형사재판 중 적용법령에 대해 헌법소원을 제기하였을 때의 직접성 문제- 헌재 2016. 11. 24. 2013헌마403*에 대한 평석 -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