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슬로바키아 EU 가입 20년의 경제적 성과와 시사점

이용수  3

영문명
Economic Achievements and Implications of 20 Years of Slovakia’s EU Accession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저자명
김상원(Sang Won Kim)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연구』제49권 2호, 71~10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EU 가입 이후 슬로바키아는 1인당 GDP를 EU 평균 대비 57%에서 약 71%로 끌어올리며 경제적 수렴을 이뤄냈고, 고용률, 임금, 생활 수준에서도 큰 개선을 보였다. 특히 자동차와 전자 산업 중심으로 산업 구조가 고도화되었고, 수출 주도형 성장 모델이 정착되었다. 외국인직접투자와 EU 구조 기금이 경제 성장과 산업 현대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글로벌 금융위기와 코로나19 팬데믹 같은 외부 충격에도 비교적 빠른 회복력을 보였다. 유로화 도입(2009)은 무역 확대와 투자 유치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나, 독자적 통화 정책 운용 여지는 상실했다. 공공 재정 관리는 대체로 안정적이었지만, 팬데믹 대응 과정에서 부채비율이 상승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들도 남아 있다. 국내 지역 간 경제 격차는 EU 가입 이후에도 완화되지 않았으며, 동부 지역은 여전히 발전 수준이 낮다. 혁신 역량은 EU 평균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분야로의 산업 업그레이드는 제한적이다. 향후 슬로바키아는 고령화, 산업 구조 전환, 디지털화, 녹색 전환 등 구조적 변화를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지속 가능한 고소득 경제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생산성 향상, 혁신 투자 확대, 지역 불균형 해소, 제도 역량 강화가 핵심 과제가 될 것이다. EU 가입이 가져온 통합의 성과를 토대로, 슬로바키아는 새로운 도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Since joining the EU, Slovakia has achieved economic convergence, increasing its GDP per capita from 57% to about 71% of the EU average, and has also seen significant improvements in employment, wages, and living standards. In particular, the industrial structure has become more sophisticated, centered on the automobile and electronics industries, and an export-led growth model has been established.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EU structural fund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 modernization. It has shown relatively rapid resilience to external shocks such as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COVID-19 pandemic. The introduction of the euro (2009) had a positive effect on trade expansion and investment attraction, but it lost the room for independent monetary policy. Public finance management has been generally stable, but the debt ratio has increased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the pandemic. However, there are still challenges to be addressed. The economic gap between domestic regions has not been alleviated since joining the EU, and the eastern region is still underdeveloped. Innovation capacity is below the EU average, and industrial upgrading to high value-added sectors is limited. In the future, Slovakia should actively manage structural changes such as aging, industrial restructuring, digitalization, and green transition. In order to transition to a sustainable high-income economy, the key tasks will be to increase productivity, expand investment in innovation, resolve regional imbalances, and strengthen institutional capacity. Based on the integration achievements brought about by EU accession, Slovakia can be said to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responding to new challenge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EU 가입 이전 슬로바키아의 경제 개혁
3. EU 경제로의 수렴과 성과
4. 경제 성과 및 불균형
5.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원(Sang Won Kim). (2025).슬로바키아 EU 가입 20년의 경제적 성과와 시사점. 동유럽발칸연구, 49 (2), 71-100

MLA

김상원(Sang Won Kim). "슬로바키아 EU 가입 20년의 경제적 성과와 시사점." 동유럽발칸연구, 49.2(2025): 71-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