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육군 초급간부의 일-삶 불균형과 이직의도에 대한 자원보존이론 분석: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이용수 15
- 영문명
- Resource Conservation Theory Explanation on Junior Military Officers’ Work-life Imbalance and Turnover Intention: A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저자명
- 성동훈(Donghoon Seong) 장은미(Eunmi Chang) 권지민(Jimin Kwon)
- 간행물 정보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제49집 2권, 63~9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군 초급 간부들의 이직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군 인력도 신세대로 교체되면서, 개인의 소명의식과 헌신적인 복무에 기반하여 군의 경쟁력을 유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며 특히 국가 안보의 최정예 인력인 초급 간부들의 이직에 대한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자원보존이론의 관점에서 육군 초급간부를 대상으로, 이들이 인지한 일-삶 불균형과 이직의도 간 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일-삶 불균형을 자원 손실 요인으로, 가족지지와 지원적 중대 분위기를 자원 획득 요소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육군 보병부대 25개 중대급 부대에서 근무 중인 5년차 이하의 장교 및 부사관 17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다수준 분석을 진행한 결과, 군 초급간부들이 인지한 일-삶 불균형은 이직의도와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원적 중대 분위기는 일-삶 불균형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조절하여, 지원적 중대 분위기가 높을수록 일과 삶 불균형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가 감소하였다. 반면 가족지지의 일-삶 불균형과 이직의도의 관계에 대한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원보존이론의 자원의 손실과 획득 개념을 활용하여 군 장교들의 이직 현상에 대하여 분석하였다는 점, 그리고 특히 자원획득의 요소로 지원적 중대 분위기의 조절효과를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함의를 갖는다. 또한, 초급 장교들의 이직의도 완화를 위해 근무 환경에 대한 개선, 조직 차원에서 지휘관 및 동료 간부들 간 상호신뢰와 존중에 기반하는 의사소통 시스템, 그리고 중대 간부들 간 협력과 지원을 장려하는 조직문화 조성의 필요성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군 샘플의 다양성을 확대하고 군을 대상으로 항목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방법(multi-methods)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시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work-life imbalance on turnover intention among junior officers in the Republic of Korean Army, drawing from the resource conservation theory. It examines the roles of family support and a supportive company climate as moderators that could alleviate the adverse effects of work-life imbalance on turnover inten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176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all with five or fewer years of service, across 25 teams in company-level units of the Army Infantry Division.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perceived work-life imbalance among junior officers and their intention to leave the military. Second, family support did not significantly moderate this relationship. Third, a supportive army company climate was found to significantly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work-life imbalance on turnover intention, where weaker army company support intensified the adverse impact of work-life imbalance. These results highlight work-life imbalance as a major driver of turnover intention among junior officers and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a supportive army company climate in mitigating this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recommended to enhance the work environment and conditions for junior officers to reduce their turnover intentions. Additionally, fostering an effectiv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mutual trust and respect between commanders and officers, as well as cultivating a collabo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re essential steps for addressing these issu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Editorial] Management Insight Review: A New Platform for Insightful Scholarship
- Shaping Ethics at the Top: How Team Mental Models Influence Top Managerial Behavior
- A Live Shopping Experience Study of Consumer Immersion and Parasocial Relationships as a Function of the Creator's Interactive Communication Style : TikTok Live Shopping Consumers in the China and the U.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