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초기 이변의 역관 활동과 『훈세평화』의 편찬

이용수  0

영문명
Lee Byeon's Activities as a Diplomatic Interpreter in Early Joseon and the Compilation of Hunsepyeonghwa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양강(Kang Yang)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제210집, 99~12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훈세평화』의 편찬에서 나타난 중국어 습득과 유교문화 수용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조선 초기 중국어 교육의 특징, 대명외교의 실상 나아가 정치·사회의 성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변은 여러 차례 명에 파견되어 사신으로 활동하였을 뿐만 아니라, 명 사신 접대와 한어 질정 업무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언어적 장애로 인한 의사소통 문제를 예방하고 사대관계를 유지하며 사회와 문화를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였다. 또한, 이변은 몽골어가 섞인 한어를 배제하고, 명 표준말을 반영한 실용적이고 생활화된 언어로 『훈세평화』를 편찬하였다. 『훈세평화』는 어록체의 영향을 받아 고문체와 백화체가 병행된 문체를 취하고 백화문 서사 문체인 평화를 활용함으로써 학습의 효과와 실용성을 크게 높였다. 더불어, 『훈세평화』는 중국어 학습 교재인 동시에 유교 윤리 도덕을 보급하는 데도 기여하였다. 이 책은 『삼강행실도』의 사례를 적극 활용하고 명의 권선서를 보완 자료로 삼아 유학에서 강조하는 보편적 인간관계의 규범인 ‘의’를 다룸으로써 학습자들 특히 역관들이 도의를 실천하고 과도한 이익 집착을 경계하도록 유도하였다. 결론적으로 『훈세평화』는 백화문으로 된 중국어 교재이자 유교 도덕 윤리를 확산하려는 의도로 편찬된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atterns of Chinese language acquisition and the reception of Confucian culture manifested in the compilation of Hunsepyeonghwa, with the aim of elucida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Joseon Chinese language education, the reality of Ming diplomacy, and the nature of its political and social spheres. Lee Byeon was dispatched on several occasions to the Ming court as an envoy and not only engaged in diplomatic activities but also handled Ming envoy receptions and duties related to institutionalized canonical verification of Chinese linguistic protocols. Furthermore, Lee Byeon excluded Chinese forms that incorporated Mongolian elements and compiled Hunsepyeonghwa in a practical, everyday language reflecting the standard language of Ming. Influenced by the recorded-sayings style, Hunsepyeonghwa adopts a writing style that integrates both classical style and vernacular style, and by utilizing pyeonghwa in the vernacular chinese narrative style, it significantly enhanced the effectiveness and practicality of learning. Moreover, Hunsepyeonghwa served not only as a Chinese language textbook but also contributed to the dissemination of Confucian ethical and moral principles, particularly righteousness.

목차

1. 머리말
2. 조선 초기 중국어 교육 체계의 정비와 이변의 역관 활동
3. 『훈세평화』의 어록체 활용과 편찬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강(Kang Yang). (2025).조선 초기 이변의 역관 활동과 『훈세평화』의 편찬. 동방학지, (), 99-127

MLA

양강(Kang Yang). "조선 초기 이변의 역관 활동과 『훈세평화』의 편찬." 동방학지, (2025): 99-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