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Bandwagoning with the Socialist Bloc DPRK's Early Cold War Strategy and the Role of the Embassy in the Soviet(1948~1951)
- 발행기관
- 한국근현대사학회
- 저자명
- 이윤경(Youn-kyeo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근현대사연구』제112집, 221~24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건국 초기 사회주의 진영으로의 편승 전략을 취한 북한의 외교를주소북한대사관의 설치와 활동을 통해 살펴보았다. 주소북한대사관은 북한최초의 대사관으로서 국제사회에서 독립 국가로서의 위상을 다지고 사회주의 진영과 우호 관계를 형성해야 했던 북한의 외교 구축기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초대 대사 주녕하와 함께 근무한 대사관원들의 과반이 소련계라고 불린 소련 국적의 조선인들이었다. 소련계는 소련으로부터 신원을 보장받으면서 일제 및 남한과 연계가 없는 이들로서 해외 파견 외교관으로 가장 적합했다. 주소북한대사관은 북한과 사회주의 진영을 잇는 가교였다. 대사관은 소련뿐만 아니라 동유럽 사회주의와도 소통했으며 북한이 국제무대 참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업무를 수행했다. 중앙의 일원적 통제 체제 부재로 초기 주소북한대사관의 업무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초보적이었을지라도 대사관 업무를 통해 북한은 사회주의 세계와 접촉하고 동일성을 높여가며 냉전적 구도 속에서 자신을 위치시킬 수 있었다.
영문 초록
During the early Cold War, the DPRK strategically aligned itself with the socialist bloc,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USSR in October 1948 and opening reciprocal embassies. The DPRK’s embassy in Soviet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DPRK's nascent diplomatic development. The Embassy facilitated communication between Pyongyang and diplomatic and nondiplomatic countries in Europe, which contributed to DPRK's international growth and development. And it drew forth the Kremlin's collaboration to enable the socialist bloc to engage in the global arena, thereby enhancing its presence and garnering support. Through this, DPRK was able to establish contact with and identify with the socialist world, thereby positioning itself within the Cold War framework via both its symbolic significance and material activities.
목차
1. 머리말
2. 주소북한대사관의 설치 과정과 인적 구성
3. 주소북한대사관의 사회주의 편승 외교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오스만 제국 외교사절단의 헤이그 특사 관련 황실보고서 및 문헌
- 한국근현대사연구 제112집 목차
- 1930년대 일본 「변호사법」과 조선 「변호사규칙」의 개정 과정 비교
- 장시우의 재만사회주의운동과 북한 상업정책의 특징
- 조선공업기술연맹의 ‘공업입국(工業立國)’ 구상과 실현 노력(1945~1948)
- 해방 직후 삼일운동 회고담 비판 - 준비과정의 쟁점들을 중심으로
- 1967년 6·8총선에 대한 박정희 정권의 인식과 대응
- 한국독립운동사 왜곡과 인공지능(AI) 시대의 역사 재현
- 개항기~일제시기 부산의 유곽 조성과 변화 과정 연구
- 건국 초기 소련 주재 북한대사관의 설치와 활동(1948~1951)
- 독립운동을 다룬 한국영화의 시대별 제작 경향과 <말모이>(2019) 속 역사 재현의 양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