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항기~일제시기 부산의 유곽 조성과 변화 과정 연구

이용수  41

영문명
A Study on the Creation and Changes of Red Light District in Busan during the Open-Ports Period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발행기관
한국근현대사학회
저자명
박현(Hyeon PARK)
간행물 정보
『한국근현대사연구』제112집, 91~12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02년 부산 좌수토원에 조선에서 처음으로 유곽이 조성되었다. 좌수토원유곽 조성은 성매매업자가 주도했다. 좌수토원유곽이 조성되던 시기 초량과 목도에도 유곽이 조성되었다. 초량유곽은 초량역 근처의 철도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유곽이었으며, 목도유곽은 목도의 어업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유곽이었다. 초량유곽은 1923년 이후 녹정유곽으로 흡수되었고 목도유곽은 녹정유곽과 더불어해방 때까지 영업했다. 부산이 발전하면서 좌수토원유곽을 시가지 외곽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1912년 1월 녹정으로 이전했다. 녹정유곽의 입지 조건을 살펴 보면 당시 부산의 일본인 시가지 남쪽 끝에 위치했으며, 유곽 동쪽은 바다로 서쪽은 산으로 막혀 있었지만 나머지 부분은 주변과 격리되지 않았다. 부산 유곽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부산 유곽은 성매매업자가 유곽 조성을 주도했다. 특정 고객을 대상으로 한 유곽이 있었다. 유곽이 일본인 시가지 외곽에 위치했으며, 주변과 완벽히 격리되지는 않았다. 대부분의 유곽은 군대·철도 시설과 관련되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e first red-light districts in Joseon was established in 1902 at Jwasutowon in Busan. Around the same time, red-light districts were also established in Choryang and Mok-do. The Choryang red-light districts was for railway workers near Choryang Station, while the Mok-do red-light districts was for fishery workers in Mok-do. The Jwasutowon red-light district was moved to Nok-jeong. The Nok-jeong district was located at the southern edge of the Japanese settlement, bordered by the sea on the east and mountains on the west, but not completely isolated from surrounding areas. The characteristics of Busan's red-light districts are as follows. The establishment was led by sex traffickers. Some red-light districts targeted specific customer groups. Located on the outskirts of Japanese settlements. Not completely isolated from surrounding areas. Most red-light districts were unrelated to military or railway facilities.

목차

1. 머리말
2. 부산의 성매매 문제와 관리 규칙 제정
3. 부산 유곽의 공간 분석과 녹정유곽으로의 통합 문제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현(Hyeon PARK). (2025).개항기~일제시기 부산의 유곽 조성과 변화 과정 연구. 한국근현대사연구, (), 91-126

MLA

박현(Hyeon PARK). "개항기~일제시기 부산의 유곽 조성과 변화 과정 연구." 한국근현대사연구, (2025): 91-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