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독립운동을 다룬 한국영화의 시대별 제작 경향과 <말모이>(2019) 속 역사 재현의 양상

이용수  51

영문명
The production trends of Korean films dealing with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aspect of historical representation in (2019)
발행기관
한국근현대사학회
저자명
함충범(Chung-beom HAM)
간행물 정보
『한국근현대사연구』제112집, 63~8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독립운동을 소재로 한 한국영화는 해방기에 유행을 이루면서 활발히 만들어졌고, 1950년대 말부터 재차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1960년대를 통과하며 다양한 작품 속에 독립운동 서사가 접목되는 사례가 늘어났다. 이러한 흐름은 1970년대로도 일부 이어졌지만, 1980년대에는 영화의 제작이 상당히 위축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를 지나 2000년대 이후에는 독립운동을 다룬 영화들이 다양하게 기획되었다. 특히 2010년대 중반부터는 ‘천만 관객’ 영화로 등극한 <암살>(2015)을 기점으로 보다 많은 독립운동의 역사가 영화 속에 담겨졌다. 그 가운데 조선어학회 사건(1942~1943)을 모티브로 한 엄유나 감독의 <말모이>(2019)가 주목되는데, 이 작품은 민족 언어에 관한 내용을 담았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띠었다. <말모이>는 실제 사건과 실존 인물을 바탕에 두면서도 주인공을 비롯한 다양한 가상의 인물을 창조함으로써, 독립운동의 주체가 지식인들만이 아닌 사회 저층을 포함한 민중이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그러나 동시에 시대상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검증을 요하는 여러 가지 지점들을 노출시키는데, 특히 해당 시기 가장 파급력이 큰 대중매체 및 대중문화로 자리해 있던 영화의 역사와 조우한다는 점에서 특징을 보이기도 한다.

영문 초록

Korean films depict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became popular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began to be actively produced again in the late 1950s. Additionally, through the 1960s, narrative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were included in various films. This trend partially continued into the 1970s, but the production of such film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1980s. However, through the 1990s and after the 2000s, various films depict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were planned and produced. In particular, starting from the mid-2010s, more of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has been included in films, starting with (2015), which was a huge box office hit. Among them, (2019), produced with the motif of the Affair of Korean Language Society(1942-1943), was differentiated in that it focused on the national language. In , there are not only real events and characters, but also various fictional character types, including the main character. And through this, it is emphasized that the subject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were not only intellectuals but the people, including the lower classes of society. However, various points that require verification are revealed in the movie. In particular,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encounters the history of film, which was the most influential mass media and popular culture at that time.

목차

1. 들어가며
2. 독립운동을 소재로 한 한국영화의 연대기적 지형도
3. <말모이>(2019)의 경우: 인물과 사건의 구현 방식, 그리고 고증의 문제
4.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함충범(Chung-beom HAM). (2025).독립운동을 다룬 한국영화의 시대별 제작 경향과 <말모이>(2019) 속 역사 재현의 양상. 한국근현대사연구, (), 63-88

MLA

함충범(Chung-beom HAM). "독립운동을 다룬 한국영화의 시대별 제작 경향과 <말모이>(2019) 속 역사 재현의 양상." 한국근현대사연구, (2025): 63-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