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LDA 기법을 활용한 농업식품 분야 유전자 편집(Genome-Edited) 기술동향에 관한 연구: 해외 규제 동향을 중심으로

이용수  5

영문명
A Study on the Trends of Genome-Edited Technologies in the Agri-Food Sector Using LDA: Focusing on Global Regulatory Approaches
발행기관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저자명
이위호(WEI HAO LI) 김미숙(Mi Sook Kim)
간행물 정보
『사회융합연구』제9권 제2호, 73~83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목적은 농업식품 분야에서 유전자 편집(Genome-Edited) 기술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해외규제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COPUS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된 총 23,116건의 논문을 대상으로 R기반의 텍스트 마이닝 기법과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주제 모델링을 적용하였다. 전처리 과정을 거쳐 1,798건의 핵심 문헌을 분석한 결과 유전자 편집 기술은 기술 자체의 발전뿐 아니라 이를 둘러싼 규제 정책, 사회적 수용성, 윤리적 정당성 등의 이슈가 복합적으로 얽힌 정책의제로 진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규제 관련 토픽의 출현 빈도가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기술 확산 속도에 비해 제도적 대응이 미흡한‘규제 공백(regulatory gap)’문제를 극복하려는 정책 논의가 활성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안전성과 윤리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해바마스의 의사소통 행위 이론에 비추어 기술 도입 과정에서 사회적 합의와 숙의가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규제 프레임 분석 결과 EU, 미국, 일본, 아르헨티나 등에서 유전자 편집 기술에 대한 정책 대응이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향후 국제 협력을 통한 규범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global regulatory trends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chnological landscape of genome-edited technologies in the agri-food sector. For this analysis, a total of 23,116 academic articles were collected from the SCOPUS database and analyzed using R-based text mining techniques and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topic modeling. After preprocessing, 1,798 core document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genome editing has evolved into a complex policy agenda that encompasses not only technological advancement but also regulatory frameworks, social acceptance, and ethical legitimacy. In particular, topics related to regulation have shown a continuous increase since 2018, reflecting active policy discussions aimed at addressing the 'regulatory gap' caused by the lag in institutional responses compared to the rapid pac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Furthermore, rising interest in safety and ethics highlights the necessity of public deliberation and consensus in the technology adoption process, consistent with Habermas’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Country-level regulatory analysis reveals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licy responses among the EU, the United States, Japan, and Argentina, suggesting the need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the harmonization of global standards in the near futur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및 절차
4. 분석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위호(WEI HAO LI),김미숙(Mi Sook Kim). (2025).LDA 기법을 활용한 농업식품 분야 유전자 편집(Genome-Edited) 기술동향에 관한 연구: 해외 규제 동향을 중심으로. 사회융합연구, 9 (2), 73-83

MLA

이위호(WEI HAO LI),김미숙(Mi Sook Kim). "LDA 기법을 활용한 농업식품 분야 유전자 편집(Genome-Edited) 기술동향에 관한 연구: 해외 규제 동향을 중심으로." 사회융합연구, 9.2(2025): 73-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