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관광기념품(굿즈)의 선택속성, 회상, 태도, 그리고 행동의도 간 구조적 영향관계 분석

이용수  12

영문명
Analysis of structural influence relationships among the selection attributes of tourism goods, recall,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발행기관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저자명
홍민정(Min Jung Hong) 윤설민(Seol Min Yoon)
간행물 정보
『사회융합연구』제9권 제2호, 15~28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관광기념품(굿즈)은 사진과 함께 회상의 도구로 활용되기 때문에 소비자가 어떤 이유로 여행 시 기념품(굿즈)을 선택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기념품(굿즈)의 선택속성, 회상, 관광기념품(굿즈) 구매에 대한 태도, 그리고 관광 굿즈를 구매했던 지역(도시)에 대한 행동의도 간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행 중 지역(도시)의 관광기념품(굿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4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후 구조방정식모델링 분석을 통해 몇 가지 영향관계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선택속성 요인 중 지역기념성과 가격/품질이 회상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발견되었다. 특히 지역기념성이 가격/품질보다 회상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택속성 요인 중 실용성과 회상이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상과 태도가 행동의도와 정(+)의 영향관계가 성립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회상이 태도보다 행동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구성개념으로 나타났다. 한편,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회상과 태도가 매개변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본 연구의 다양한 시사점은 결론 부분에 더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Since tourism souvenirs(goods) are used as a tool for recall along with photo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y consumers choose souvenirs(goods) when travel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selection attributes of tourism souvenirs(goods), recall, attitude toward purchasing the souvenirs(goods), and behavioral intention toward the region(city) where the tourism souvenirs(goods) were purchased. To achieve this goal,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consumers in their 20s to 40s who had experience purchasing tourism souvenirs(goods) of region(city) while traveling. Afterwards, the results of several influential relationships were deriv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First, regional commemoration and price/quality of the selection attribut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ecall. In particular, regional commemoration was found to have a greater effect on recall than price/quality. Second, practicality of the selection attributes and recall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recall and attitud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behavioral intention. In particular, recall was shown to be a construct that had a greater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than attitude. Meanwhile,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showed that recall and attitude served as mediating factors. The various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section.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민정(Min Jung Hong),윤설민(Seol Min Yoon). (2025).관광기념품(굿즈)의 선택속성, 회상, 태도, 그리고 행동의도 간 구조적 영향관계 분석. 사회융합연구, 9 (2), 15-28

MLA

홍민정(Min Jung Hong),윤설민(Seol Min Yoon). "관광기념품(굿즈)의 선택속성, 회상, 태도, 그리고 행동의도 간 구조적 영향관계 분석." 사회융합연구, 9.2(2025): 15-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