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한 병렬말뭉치 기반 중국어 조사 ‘了’의 한국어 대응 양상 연구
이용수 14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rresponding Expressions of the Chinese Particle ‘了’ in Korean Based on a Chinese-Korean Parallel Corpus
- 발행기관
- 한국어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이문화(Wenhua Li)
- 간행물 정보
- 『한국어 교육 연구』제24호, 207~22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한 신문과 드라마 병렬말뭉치 자료를 통하여 중국어 조사 ‘了’가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모습과 그들이 한국어와 대응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글말이나 입말에서 출현한 조사 ‘了’의 의미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글말보다 입말에서 조사 ‘了’의 의미가 비교적 다양하게 사용되는 현상을 보인다. 다음으로 한국어와의 대응을 살펴보았을 때, 글말에서는 동작 완성 및 목적어 있는 의미의 ‘了’가 한국어의 과거 의미를 가진 선어말어미 ‘-았/었’과 주로 잘 대응되는 현상을 보였다. 반면, 입말에서는 동작 완성 및 목적어가 있는 의미와 없는 의미의 ‘了’가 모두 과거 의미를 가진 선어말어미 ‘-았/었’과 잘 대응되어 쓰이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상태의 변화 및 곧 일어날 의미의 ‘了’와 “啦”의 약한 형식 의미의 ‘了’는 주로 한국어와 ‘대응 없음’으로 대응되는 것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글말보다 입말에서 ‘了’의 한국어 대응 양상이 선어말어미, 관형사형 어미, 연결어미와 같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제 중한 병렬말뭉치를 기반으로 고빈도로 쓰인 중국어 조사 ‘了’의 의미에 따른 그의 한국어 대응 양상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는 데 의의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어 교사, 중한 번역, 중한 언어 교육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기반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을 기대한다.
영문 초록
Based on a parallel corpus of Chinese and Korean newspapers and TV dramas,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multiple meanings of the Chinese particle ‘le’ in daily life and its corresponding expressions in Korean. It is found that compared to written language, the usage frequency of ‘le’ is higher and its meanings are more diverse in spoken language. In written language, ‘le’ indicating the completion of an action or with an object meaning mainly corresponds to the Korean past tense ending ‘-aht/eot-’, while in spoken language, ‘le’ corresponds to the Korean past tense ending regardless of its meaning. The ‘le’ expressing a change of state, an imminent action, or a weakened ‘la’ meaning usually has no corresponding expression in Korean. Compared to written language, the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le’ in Korean are more diverse in spoken language, including sentence endings, attributives, and conjunctive endings.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basic data source for Chinese-Korean language teaching, translation, and comparative research.
목차
1. 머리말
2. 선행 연구
3. 말뭉치에서 조사 ‘了’의 의미 분석 결과
4. 병렬말뭉치에서 조사 ‘了’의 한국어 대응 양상
5.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육 연구 제24호 목차
- 중한 병렬말뭉치 기반 중국어 조사 ‘了’의 한국어 대응 양상 연구
- 교사 변인이 KFL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원어민과 비원어민 수업에 따른 태국 초급 학습자의 사례
- 외국인 난민 통역인 대상 한국어교육을 위한 기초적 논의
- 한국어능력시험이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 - 국외 베트남 학습자를 중심으로
- 중ㆍ고급 학습자의 한국어 겹받침 발음에 대한 표준 발음 인식 연구 - 부산지역 외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 K-POP 아이돌 연습생 맞춤 한국어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 - 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 미얀마 현지 한국어 학습자의 음운 규칙 오류 분석과 발음 수업에 대한 요구 조사 연구
- 중앙아시아 이주민 대상 한국어 파찰음 교육 방법 고찰
- 베트남 호찌민 지역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에서 ChatGPT 수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유사 문법 교육 연구 : ‘-는 셈이다’와‘-다시피 하다’
- TV 공익광고에 나타난 시대 문화의 변화 양상 고찰 - 주제 변화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