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얀마 현지 한국어 학습자의 음운 규칙 오류 분석과 발음 수업에 대한 요구 조사 연구

이용수  30

영문명
A study on the analysis of phonetic rule errors and needs for pronunciation class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Myanmar
발행기관
한국어교육연구학회
저자명
메이뽀뉴(May Poe Phyu) 김진희(Jin Hee Kim)
간행물 정보
『한국어 교육 연구』제24호, 97~12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얀마 학습자의 음운 규칙 오류를 분석하여 발음과 관련된 문제점을 파악한 후, 학습자의 발음 수업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여 현지 상황에 적합한 교육 방법 탐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음운 규칙 오류 분석을 위해 현지에서 사용되는 교재의 음운 규칙 항목을 확인한 뒤, 어휘를 중심으로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조사 결과 비음화에서의 오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다음으로는 관형형 어미 ‘-(으)ㄹ’ 뒤에서의 경음화에서 오류가 많이 나타났다. 학습자의 발음에 대한 인식 및 발음 수업에 대한 요구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발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발음 수업과 관련하여 음운 규칙, 억양, 강세에 대한 학습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수업 방식에 있어 한국인 교수자의 수업을 선호하였고, 유튜브 콘텐츠, 뉴스 기사, 동영상 등 실질적인 자료를 활용한 자연스러운 발화 중심의 수업을 원하였다. 발음 연습 방식으로는 단순한 따라 하기 외에도 발음 게임과 같은 상호작용적 활동을 선호했으며, 모국어와의 대조를 통한 설명과 개별화된 발음 오류 피드백에 대한 요구도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미얀마 현지 발음 수업에서 학습자 중심의 수업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yanmar learners' pronunciation rule errors to identify pronunciation-related problems, and to investigate learners' awareness and needs for pronunciation classes to provide basic data for exploring teaching methods suitable for local conditions. In order to analyze phonological rule errors, the contents of the phonological rules of the textbooks used locally were checked to organize the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the error analysis, the highest error frequency was found in nasalization, followed by soft consonants after the nominative suffix ‘-(eu)l’.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learners’ awareness of pronunciation and needs for pronunciation classes, most learn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ronunciation. In terms of contents related to pronunciation classes, the need for learning phonological rules, intonation, and stress was high. In addition, they wanted classes by Korean instructors and wanted to learn natural speaking through practical materials such as YouTube contents, news articles, and videos in terms of teaching materials. In addition, in terms of teaching methods, they preferred interactive practice such as pronunciation games in addition to following pronunciation, and they hoped to receive explanations through comparison with their native language and individualized feedback on pronunciation error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signing learner-centered lessons that can be utilized in local pronunciation classes in Myanmar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미얀마인 학습자를 위한 발음 관련 연구
3. 음운 규칙 오류 분석
4. 발음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메이뽀뉴(May Poe Phyu),김진희(Jin Hee Kim). (2025).미얀마 현지 한국어 학습자의 음운 규칙 오류 분석과 발음 수업에 대한 요구 조사 연구. 한국어 교육 연구, (), 97-121

MLA

메이뽀뉴(May Poe Phyu),김진희(Jin Hee Kim). "미얀마 현지 한국어 학습자의 음운 규칙 오류 분석과 발음 수업에 대한 요구 조사 연구." 한국어 교육 연구, (2025): 97-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