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자 롤랑 바르트
이용수 0
- 영문명
- Roland Barthes éducateur
- 발행기관
- 프랑스학회
- 저자명
- 한석현(Seokhyeon HAN)
- 간행물 정보
- 『프랑스학연구』제107권, 251~288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롤랑 바르트의 교육자로서의 면모를 조명하고 그의 교육 실천과 교육론의 특성을 탐구한다. 바르트의 교육 활동 대부분은 고등실천연구원(EPHE)의 세미나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그의 세미나는 단순한 지식 전달의 장이 아니라 새로운 이론의 형성, 글쓰기의 예비 단계, 그리고 학생들과의 상호적 탐구와 창조적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이었다. 바르트는 세미나라는 형식을 통해 자신이 설정한 교육의 원칙들—말과 글의 관계에 대한 성찰, 교수자와 피교수자의 역할 교환, 권위적 담론의 해체, 욕망과 쾌락을 중심으로 한 유토피아적 공동체 형성—을 실험적으로 구현하고자 했다. 바르트의 교육론은 기존의 권위적이고 일방적인 학교 교육을 비판하면서 문학을 교육이 아닌 실천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 그는 말과 글 사이의 긴장을 활용하여 세미나를 “구술된 쓰기”의 장으로 재구성한다. 또한 학생들이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제식”과 “양육식” 교육 방식을 결합했으며 그 결과 세미나는 쓰기를 실험하는 작업장으로 변모한다. 이 연구는 바르트의 세미나 기획과 진행방식의 구체적 사례를 통해 그의 독특한 교육 실천이 어떠한 메타적 성찰 속에서 형성되었는지를 분석하며, 이를 통해 바르트를 문학 비평가, 이론가, 구조주의자 등으로 제한하는 기존의 이미지에 더해 ‘교육자 바르트’라는 새로운 입면을 제시하고 그의 교육 실천이 지닌 현대적 의의를 재조명한다.
영문 초록
Cet article examine la pensée pédagogique de Roland Barthes ainsi que ses pratiques éducatives à travers ses séminaires à l’EPHE. Ces séminaires n’étaient pas seulement des lieux de transmission du savoir, mais aussi des espaces de formation de théories nouvelles, des antichambres de l’écriture et des lieux d’échange privilégié avec les élèves. Barthes y mettait en pratique les principes de sa pensée éducative : la création expérimentale d’une communauté utopique fondée sur le désir et le plaisir, la réflexion critique sur le rapport entre parole et écriture, ainsi que la déconstruction de l’enseignement hiérarchique traditionnel. Barthes insistait sur une approche de la littérature envisagée non comme un enseignement mais comme une pratique;dans ce cadre, il transformait ses séminaires en ateliers expérimentaux dédiés à une «écriture parlée». En examinant la démarche de ses séminaires, cette étude explore comment ses pratiques éducatives singulières se sont constituées et propose ainsi d’élargir l’image stéréotypée de Barthes en mettant en avant la figure de Barthes en tant qu’éducateur.
목차
1. 서론
2. 교육론의 요소들
3. 교육의 실제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무 중심 프랑스어 교육의 디지털 전환 - 호텔제과제빵 분야를 위한 디지털 교재와 Zoom의 활용
- 프랑스학연구 제107권 목차
- Idéal et pratique du genre du “mélodrame” durant le dernier tiers du XVIIIe siècle
- 아니 에르노와 마크 마리의 『사진의 용도』에 기입된 암 투병기
- 프랑시스 잠 시에 나타난 기독교의 궤적
- 퐁주의 창문 : 창문의 존재론과 미학
- 교육자 롤랑 바르트
- 프랑스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의 방향성 연구 - 상호문화 역량을 중심으로
- 1968년 5월 운동의 특수성과 새로운 문학 지형의 형성
- 프랑스어 [DÉT espèce de N] 구문의 문법화 연구 : 구문문법적 접근
- 2022 개정 프랑스어 교육과정 고찰 - 읽기 영역의 핵심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 정치대담을 통해 살펴본 est-ce que 의문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BEST
- ‘진정한’ 문학이란 무엇인가 - 조르주 바타유의 「르네 샤르에게 보내는 서한 : 작가의 모순들에 관하여」 읽기
- 로마네스크양식과 고딕양식의 연속성(1) - 초기 기독교의 교회당 건축 -
- 인공지능 시대의 예술과 창의성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NEW
- 실무 중심 프랑스어 교육의 디지털 전환 - 호텔제과제빵 분야를 위한 디지털 교재와 Zoom의 활용
- 프랑스학연구 제107권 목차
- Idéal et pratique du genre du “mélodrame” durant le dernier tiers du XVIIIe siècl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