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프랑스어 [DÉT espèce de N] 구문의 문법화 연구 : 구문문법적 접근
이용수 0
- 영문명
- Étude de la grammaticalisation de la construction française [DÉT espèce de N] : Une approche de la Grammaire des Constructions
- 발행기관
- 프랑스학회
- 저자명
- 서정연(Jungyeon SUH)
- 간행물 정보
- 『프랑스학연구』제107권, 37~6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프랑스어 [DÉT espèce de N] 구문의 의미·화용적 확장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법적 불일치를 구문문법(construction grammar) 관점에서 분석한다. 해당 구문의 실제 용례에서 관찰되는 문법적 불일치는 단순한 오류가 아니라 체계적인 언어 변화의 결과로, 독립적인 구문으로 정착되는 과정으로 해석된다. 특히, espèce de 구문이 일정한 통사·의미적 패턴을 형성하며 언어 체계 내에서 독자적인 지위를 구축하는 양상을 고찰한다. espèce는 본래 유형명사로서 특정 범주를 분류하는 기능을 가졌으나, 점차 완화 표현(hedge) 및 주관적 평가 기능을 포함하는 구문으로 변모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를 구문문법과 문법화 이론의 틀에서 설명하며, 해당 구문이 어떻게 독립적인 형식-의미 결합체로 자리 잡았는지를 분석한다. 또한, espèce de와 유사한 genre de, sorte de 구문과 비교 분석하여, 각 유형명사(nom taxonomique)가 문법화 과정에서 보이는 서로 다른 발전 경로와 특징적 양상을 고찰한다. 본 연구는 구문문법과 문법화 이론의 설명력을 확장하는 데 기여하며, 프랑스어에서 관찰되는 문법적 변화의 패턴을 보다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또한, 해당 구문이 문법적 규범과 실제 언어 사용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사례로써, 프랑스어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Cette étude analyse les discordances grammaticales dans la construction [DÉT espèce de N] selon la grammaire de construction. Ces discordances sont interprétées comme un changement linguistique systématique, établissant cette structure en tant que construction indépendante. Notre recherche examine comment espèce de développe des schémas syntaxiques et sémantiques stables dans le système linguistique. Initialement nom taxonomique, espèce a évolué vers une construction espèce de avec fonctions d’atténuation et d’évaluation subjective. Nous expliquons cette transformation via la grammaire des constructions et la théorie de la grammaticalisation, montrant son développement en association forme-sens fixe. Une analyse comparative avec genre de et sorte de révèle des parcours de grammaticalisation distincts. En étudiant l’interaction entre les normes linguistiques et l’usage réel, cette recherche approfondit notre compréhension du changement linguistique. La construction [DÉT espèce de N] constitue un exemple représentatif d’évolution grammaticale, offrant des perspectives applicables à l’enseignement du françai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DÉT espèce de N] 구문의 통사적 특징과 의미·화용적 기능
3. [DÉT espèce de N]의 문법화
4.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무 중심 프랑스어 교육의 디지털 전환 - 호텔제과제빵 분야를 위한 디지털 교재와 Zoom의 활용
- 프랑스학연구 제107권 목차
- Idéal et pratique du genre du “mélodrame” durant le dernier tiers du XVIIIe siècle
- 아니 에르노와 마크 마리의 『사진의 용도』에 기입된 암 투병기
- 프랑시스 잠 시에 나타난 기독교의 궤적
- 퐁주의 창문 : 창문의 존재론과 미학
- 교육자 롤랑 바르트
- 프랑스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의 방향성 연구 - 상호문화 역량을 중심으로
- 1968년 5월 운동의 특수성과 새로운 문학 지형의 형성
- 프랑스어 [DÉT espèce de N] 구문의 문법화 연구 : 구문문법적 접근
- 2022 개정 프랑스어 교육과정 고찰 - 읽기 영역의 핵심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 정치대담을 통해 살펴본 est-ce que 의문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BEST
- ‘진정한’ 문학이란 무엇인가 - 조르주 바타유의 「르네 샤르에게 보내는 서한 : 작가의 모순들에 관하여」 읽기
- 로마네스크양식과 고딕양식의 연속성(1) - 초기 기독교의 교회당 건축 -
- 인공지능 시대의 예술과 창의성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NEW
- 실무 중심 프랑스어 교육의 디지털 전환 - 호텔제과제빵 분야를 위한 디지털 교재와 Zoom의 활용
- 프랑스학연구 제107권 목차
- Idéal et pratique du genre du “mélodrame” durant le dernier tiers du XVIIIe siècl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