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프랑스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의 방향성 연구 - 상호문화 역량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Étude sur l'orientation de l'éducation culturelle dans l'enseignement du français langue étrangère - centrée sur la compétence interculturelle
- 발행기관
- 프랑스학회
- 저자명
- 이송(Song LEE)
- 간행물 정보
- 『프랑스학연구』제107권, 87~11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외국인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대비하여 의사소통 능력 배양을 제2외국어 교육의 주요 목표로 삼아 왔던 입장으로는 더 이상 학교 외국어 교육의 당위성에 대한 의심과 평가 절하에 대응하기가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외국어 교육은 이미 실용적 목적에서부터 시민성의 가치나 인본주의적 가치와 관련 있는 방향으로 옮겨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는 2022 개정 제2외국어 교육과정이 ‘상호문화 이해 역량’을 교과 역량의 하나로 설정하였다는 사실에 주목하고자 한다. 새 교육과정에서 교과 역량으로 명시되었다는 사실은 교과의 정체성과 관련된 유의미한 관심 대상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프랑스어 교육과정의 문화 영역을 상세히 분석함으로써 프랑스어 교실에서 상호문화 이해 역량이 구현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먼저 외국어로서의 프랑스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의 다차원성을 다룬 선행연구를 확인하고, 교육과정의 변천사를 통해 문화교육 현황을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는 교육과정의 필수 구성요소인 목표,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방법의 측면에서 상호문화 접근법에 관련된 진술문을 상세히 분석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호문화 역량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프랑스어 교육 계획과 상호문화적 관점의 교수·학습 절차를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Il est de plus en plus reconnu que l’enseignement des langues doit également intégrer la dimension interculturelle. Cette étude s’appuie sur l’observation suivante:le programme d’enseignement des deuxièmes langues étrangères, révisé en 2022, définit la «compétence de compréhension interculturelle» comme l’une des compétences disciplinaires. L’objectif de cette recherche est d’analyser en détail le domaine culturel du programme afin de mettre en pratique la dimension interculturelle dans l’enseignement du français. Pour ce faire, nous examinons d’abord trois études antérieures sur la multidimensionnalité de l’éducation culturelle ainsi que l’évolution historique des programmes d’enseignement. Ensuite, nous précisons les détails liés à l’approche interculturelle en termes de composantes essentielles du programme:objectifs;structures de contenu et critères d’accomplissement;méthodes d’enseignement/apprentissage;méthodes d’évaluation. Enfin, nous proposons un nouveau plan d’enseignement du français centré sur le développement de la compétence interculturelle.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이론적 배경
3. 2022 개정 프랑스어 교육과정의 문화 영역 상세화
4. 맺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무 중심 프랑스어 교육의 디지털 전환 - 호텔제과제빵 분야를 위한 디지털 교재와 Zoom의 활용
- 프랑스학연구 제107권 목차
- Idéal et pratique du genre du “mélodrame” durant le dernier tiers du XVIIIe siècle
- 아니 에르노와 마크 마리의 『사진의 용도』에 기입된 암 투병기
- 프랑시스 잠 시에 나타난 기독교의 궤적
- 퐁주의 창문 : 창문의 존재론과 미학
- 교육자 롤랑 바르트
- 프랑스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의 방향성 연구 - 상호문화 역량을 중심으로
- 1968년 5월 운동의 특수성과 새로운 문학 지형의 형성
- 프랑스어 [DÉT espèce de N] 구문의 문법화 연구 : 구문문법적 접근
- 2022 개정 프랑스어 교육과정 고찰 - 읽기 영역의 핵심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 정치대담을 통해 살펴본 est-ce que 의문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BEST
- ‘진정한’ 문학이란 무엇인가 - 조르주 바타유의 「르네 샤르에게 보내는 서한 : 작가의 모순들에 관하여」 읽기
- 로마네스크양식과 고딕양식의 연속성(1) - 초기 기독교의 교회당 건축 -
- 인공지능 시대의 예술과 창의성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NEW
- 실무 중심 프랑스어 교육의 디지털 전환 - 호텔제과제빵 분야를 위한 디지털 교재와 Zoom의 활용
- 프랑스학연구 제107권 목차
- Idéal et pratique du genre du “mélodrame” durant le dernier tiers du XVIIIe siècl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