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논항 구조에 따른 정상 노인의 동사 이름대기 수행력

이용수  32

영문명
Verb Production Depending on the Argument Structures in Normal Elderly
발행기관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저자명
임지수(Jisoo Rim) 김정완(JungWan Kim)
간행물 정보
『재활복지』제29권 제1호, 23~4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노년층이 대화 중 적절한 단어를 산출하지 못하여 이름대기 능력의 저하를 보이며 불편함을 호소 하는 현상은 정상적인 노화 과정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동사를 산출하는 경우엔 논항과 같은 구조 적 요소의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를 포함한 정상 노화에 관한 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않아 이름대기 능력에 미치는 현상을 정확하게 파악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 구는 정상 노인을 대상으로 동사 이름대기 과제의 정반응률과 반응시간을 측정하여 이를 통해 연령 과 논항 구조가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정반응률은 장년층에서 노년층으로 진입하며 인지적인 능력 또한 동시에 저하가 되는 연령인 65세에서 유의한 감소 패턴을 보였으며 (F=4.460, p<.05), 논항의 수가 비교적 적은 1항 동사에서 유의하게 높은 정반응률을 보였다 (p<.001). 반응시간은 연령에 따른 영향은 확인할 수 없었으나(F=.642, p>.05), 논항의 수가 비교적 많은 3항 동사에서 유의하게 긴 반응시간을 보이며(p<.001), 정반응률과 반응시간에서 모두 논항 구조의 복잡성이 이름대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상 노인의 이름대기 능력의 저하에 대한 현상 파악은 물론 더 나아가 정상과 병리적 노화 혹은 신경언어장애군과의 경계 를 분명하게 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henomenon in which the elderly show a decrease in naming ability and complain of discomfort due to the inability to produce appropriate words during conversation is related to the normal aging process. In particular, the structural factors such as the argument influence verb production. However, the phenomenon influencing naming ability has not yet been precisely established due to a lack of studies on normal aging which take these factors under consideration. Therefore, this study established the effect of age and argument structure on performance by measuring the correct response and reaction time of the verb naming task in the normal elderly. The study found that the correct response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at age 65, when cognitive ability decreases concurrently from young to middle-old (F=4.460, p<.05), correect response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one-argument verb with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arguments (p<.001). The effect of the argument structure's complexity on naming ability was confirmed in both the correct response and the reaction time. Age could not confirm the reaction time(F=.642, p>.05), but the three-argument verb with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arguments showed a significantly long reaction time(F=24.049, p<.001).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to distinguish between pathological aging and neuro-language problems, as well as to identify the discomfort phenomena that the normal aging expre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지수(Jisoo Rim),김정완(JungWan Kim). (2025).논항 구조에 따른 정상 노인의 동사 이름대기 수행력. 재활복지, 29 (1), 23-40

MLA

임지수(Jisoo Rim),김정완(JungWan Kim). "논항 구조에 따른 정상 노인의 동사 이름대기 수행력." 재활복지, 29.1(2025): 23-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