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Early Aging in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이윤경(Yoon Kyeong Lee) 정지은(Jieun Jeong)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제29권 제1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의 신체적·정신적 기능이 저하되는 조기 노화를 겪는 요인을 분석하 는 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 원데이터를 활용하여 랜덤 포레스트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조기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를 5가지 요인 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는 당사자 ‘연령’, ‘월평균 가구소득’이 유 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신체·생물학적 요인으로는 ‘직업적 능력’, ‘일상생활 수행 능력(ADL)’이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인지 및 적응행동 요인으로는 ‘일을 하고 돈을 버는 것에 대한 의미 이해’가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넷째, 심리 정서적 요인으로는 ‘현재 또는 향후 취업 희망 여부’가 포함되었고, 다섯째, 환경 및 서비스 접근성 요인으로는 ‘주 보호자(어머니)’, ‘최근 1년 동 안 영화관, 음악회, 미술관, 테마파크 등을 관람한 경험’이 중요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월평 균 가구소득’, ‘직업적 능력’, ‘일을 하고 돈을 버는 것에 대한 의미 이해’, ‘현재 또는 향후 취업 희망 여부’와 같이 직업과 관련된 변수가 다수 도출됨으로써 건강한 노화를 지원하는 데 있어 직업 재활의 중요성이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발달장애인의 직업 유지 및 확대를 위 한 체계적인 직업재활 프로그램과 지원 정책이 필수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contributing to early aging, characterized by the decline in physical and mental functions, in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raw data from the “Survey on the Work and Lif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andom for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employ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early aging. The findings are categorized into five key factors as follows: First, sociodemographic factors, including ‘participant age’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Second, physical and biological factors, such as ‘job capabilit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emerged as key variables. Third, cognitive and adaptive behavior factors identified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work and income’ as a significant predictor. Fourth,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 included ‘current or future employment intention.’. Lastly, environmental and service accessibility factors highlighted ‘primary caregiver (mother)’ and ‘recent experiences in cultural activities such as cinemas, concerts, museums, or theme parks’ as important variables. Notably, variables related to employment, such as ‘monthly household income,’ ‘job capability,’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work and income,’ and ‘current or future employment intention,’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statistical associations with early aging.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critical importan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promoting healthy aging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refore, systematic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and supportive policies to sustain and expand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this population are essential.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85권 목차
- The impact of multimorbidity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ng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