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접의 운율적 특성
이용수 3
- 영문명
- The Prosodic Characteristics of the Juncture
- 발행기관
- 현대문법학회
- 저자명
- 조주이(Jui Cho) 엄홍준(Hong-Joon Um)
- 간행물 정보
- 『현대문법연구』제125호, 45~6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rosodic properties of juncture involved in resolving structural ambiguity in Korean. While prior research has emphasized “pause” as a key phonetic cue, this paper argues that disambiguation occurs primarily at accentual phrase boundaries rather than intonation phrase boundaries. To account for this, a new prosodic unit, teum (“gap”), is proposed. Production experiments with Seoul/Gyeonggi speakers revealed that teum has a duration longer than typical accentual phrase boundaries but shorter than intonation phrase boundaries. It also often induces tonal changes, supporting its role in structural disambiguation. Some exceptions, however, suggest the need for further perceptual validation. By defining teum as a distinct and measurable prosodic unit, this study offers new insights into Korean prosody and the phonetic resolution of syntactic ambiguity.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기존의 연구
3. 연구 방법 및 결과 해석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연접의 운율적 특성
- 한국어 상위 부정 가부의문문: 상승과 하강 어조의 통합적 화용 의미 분석
- v*-to-T 이동에 대한 최소주의적 접근
- On Hiatus Resolution with the Vocative Marker -a
- Morphoprosodic Restrictions in English Truncation
- Chat-AI Models’ Understanding of Conceptual Metaphors in Poetry
- Integrating the Large Language Model into L2 Pronunciation Teaching and Learning
- Measuring the Effect of Word Class and Lexical Factors on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Scores: A Pakistani Context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