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영자-종업원 간의 보상격차가 감사위험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

영문명
Vertical Pay Disparity and Audit Risk
발행기관
한국회계정보학회
저자명
황주희(Juhee Hwang) 정동진(Dong-Jin Jung)
간행물 정보
『회계정보연구』제43권 제1호, 83~10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회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수직적 보상격차와 감사위험 간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수직적 보상격차가 감사인의 관점에서 재무정보의 투명성과 신뢰성 증대에 긍정적 요소로 작용하는지, 혹은 위험 요소로 인식되는 지를 살펴본다. [연구방법]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유가증권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수직적 보상격차의 수준과 감사위험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수직적 보상격차와 감사보수는 유의한 양(+)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직적 보상격차가 감사위험을 높이는 결정요인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경영자를 소유경영자와 전문경영자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수직적 보상격차와 감사위험의 관련성은 소유경영자 그룹에서 더욱 밀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부감사인은 기업의 지배구조 관점에서 수직적 보상격차의 수준을 차별적으로 인식하고, 감사위험으로 평가하며, 이를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에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수직적 보상격차가 재무정보와 경영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판단하는 요소로 인식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수직적 보상격차 정보의 중요성과 공시 필요성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vertical pay disparity and audit risk to determine whether vertical pay disparity functions as a positive factor enhancing the transparency and reliability of financial information from the auditor's perspective, or whether it is perceived as a risk factor. [Methodology]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firms listed on the Korea Exchange(KOSPI) from 2013 to 2023,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vertical pay disparity and audit risk. [Findings] The results show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vertical pay disparity and audit fees, suggesting that vertical pay disparity is a determinant that increases audit risk. However, when distinguishing between owner-managers and professional managers, the relationship between vertical pay disparity and audit risk was found to be stronger among firms with owner-managers. This indicates that external auditors perceive the level of vertical pay disparity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firm’s ownership structure, evaluate it as a risk factor, and reflect it in audit fees and audit hours accordingly. [Implications]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by empirically demonstrating that vertical pay disparity is recognized as a factor in evaluating the transparency and reliability of financial information and management. I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vertical pay disparity information and the need for its disclosure.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주희(Juhee Hwang),정동진(Dong-Jin Jung). (2025).경영자-종업원 간의 보상격차가 감사위험에 미치는 영향. 회계정보연구, 43 (1), 83-108

MLA

황주희(Juhee Hwang),정동진(Dong-Jin Jung). "경영자-종업원 간의 보상격차가 감사위험에 미치는 영향." 회계정보연구, 43.1(2025): 83-1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