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베트남 실질환율과 무역수지: 환율 제도 변경 효과와 주요 무역 상대국별 분석

이용수  13

영문명
Vietnam’s Real Exchange Rate and Trade Balance: The Effect of Exchange Rate Regime Changes and Analysis of Major Trading Partners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저자명
부이 후이 호앙(Bui Huy Hoang) 하연정(Yeonjeong Ha)
간행물 정보
『아태연구』제32권 제1호, 91~12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베트남 실질환율이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환율 제도 변경 효과와 주요 무역 상대국별 차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VAR(벡터자기회귀) 및 ARDL(자기회귀시차분포) 모형을 이용하여 단기 및 장기 효과를 동시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트남의 환율 제도 변경은 실질환율과 무역수지 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2016년 이전 관리변동환율제도 하에서는 중앙은행의 개입으로 인해 실질환율이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었으나, 2016년 이후 중심환율시스템이 적용된 관리변동환율제도로 전환되면서 실질환율에 대한 무역수지 반응이 뚜렷해지고 J-커브 효과도 명확하게 나타났다. 둘째, 주요 무역 상대국인 미국, 중국, 한국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미국과의 무역수지는 실질환율 상승이 단기 및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중국과의 무역수지는 실질환율 상승이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반면, 한국과의 무역수지에서는 미국 및 중국과 비교하여 실질환율의 영향이 크지않았다. 본 연구는 베트남의 실질환율과 무역수지 관계가 환율 제도에 따라 변화함을 확인하고, 주요 무역 상대국별로 차이가 발생함을 보였다는 데에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Vietnam’s real exchange rate on the trade balance, focusing on the effect of exchange rate regime changes and analysis of major trading partn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VAR and ARDL model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confirms that changes in Vietnam’s exchange rate regime significantly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 exchange rate and the trade balance. Under the managed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before 2016, the central bank's intervention limited the impact of the real exchange rate on the trade balance. However, after transitioning to a managed floating exchange rate with central parity mechnism in 2016, the trade balance response to real exchange rate became more pronounced, and the J-curve effect was clearly observed.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ajor trading partner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change rate and the trade balance. The trade balance with the United States showed a positive impact of exchange rate depreciation in both the short and long term. The trade balance with China showed a positive impact of exchange rate depreciation in long term. Meanwhile, the impact of the real exchange rate on the trade balance with South Korea was less significant compared to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confirm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Vietnam's real exchange rate and trade balance changes according to the exchange rate system and showing that differences occur across major trading partners. The findings provide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Vietnamese government in effectively managing exchange rate and trade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및 연구 방법론
Ⅲ. 베트남 실질환율과 무역수지: 환율 제도 변경에 따른 효과
Ⅳ. 베트남 실질환율과 무역수지: 주요 무역 상대국별 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부이 후이 호앙(Bui Huy Hoang),하연정(Yeonjeong Ha). (2025).베트남 실질환율과 무역수지: 환율 제도 변경 효과와 주요 무역 상대국별 분석. 아태연구, 32 (1), 91-121

MLA

부이 후이 호앙(Bui Huy Hoang),하연정(Yeonjeong Ha). "베트남 실질환율과 무역수지: 환율 제도 변경 효과와 주요 무역 상대국별 분석." 아태연구, 32.1(2025): 91-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