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플랫폼 노동을 통해 본 농민공(農民工)의 불안정 노동

이용수  15

영문명
The Precarious Labor of Migrant Workers: Platform Labor in China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저자명
이민자(Minja Lee)
간행물 정보
『아태연구』제32권 제1호, 33~6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의 연구대상은 플랫폼 노동자 중 음식배달 산업에 고용된 배달 라이더의 노동속성이다. 연구방법은 기존에 노동 속성을 연구하는 데 사용해 온 ‘불안정 노동’ 개념을 적용하여 배달 라이더의 노동 특징을 분석했다. 연구목적은 중국에서 어떤 사람들이 왜 플랫폼 경제에 속하는 음식배달 라이더라는 새로운 업종에 취업하는지 살펴보고, 음식배달 라이더의 노동 특징이 무엇인지 설명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 세 가지 질문을 제기했다. 첫째, 배달 라이더의 대다수가 왜 제조업과 건축업 노동자로 일하던 신세대 농민공(農民工) 출신인가? 이들이 배달 라이더로 이직하는 현황 및 배경을 소개했다. 둘째, 플랫폼 노동을 하는 배달 라이더의 노동 특징이 어떠한지 이해하기 위해 고용형태, 임금 수준, 사회보험 가입 등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했다. 연구 결과 배달 라이더들이 ‘불안정 노동’ 상황임을 밝혔다. 셋째, 중국 정부가 추진하는 인공지능(AI) 발전 전략이 플랫폼 노동자의 일자리를 어떤 면에서 위협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런 분석을 통해 신세대 농민공들이 제조업을 탈피하여 배달 라이더로 이직하더라도 여전히 ‘불안정 노동’을 하고, 계층이동의 길이 막힌 채 도시 빈민층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는 상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research subject of this paper is the labor characteristics of delivery riders employed in the food delivery industry, focusing on the concept of “unstable labor”, which has been used to study labor attributes in the pa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y some people in China are employed as food delivery riders in the platform economy and to explain their labor characteristics.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were asked: First, why are the majority of food delivery riders from the new generation of migrant workers who worked in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I introduced the background of their transition to becoming food delivery riders. Second, I examined three aspects: employment type, wage level, and social insurance subscription. The research revealed that food delivery riders are in an “unstable labor” situation. Third, I examined how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I) development strategy promoted by the Chinese government threatens the jobs of platform workers. Through this analysis I hope to understand the situation in which new generation workers are forced to live in urban poverty, with unstable employment and no path to upward social mobility even as they escape manufacturing and move to become food delivery riders.

목차

Ⅰ. 서론
Ⅱ. 플랫폼 노동과 농민공(農民工)의 관계
Ⅲ. 배달 라이더의 불안정 노동
Ⅳ. 플랫폼경제에대한중국정부정책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민자(Minja Lee). (2025).중국 플랫폼 노동을 통해 본 농민공(農民工)의 불안정 노동. 아태연구, 32 (1), 33-61

MLA

이민자(Minja Lee). "중국 플랫폼 노동을 통해 본 농민공(農民工)의 불안정 노동." 아태연구, 32.1(2025): 33-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