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대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이 외모관심도와 두피·모발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mpact of Lifestyle on Appearance Interest and Scalp & Hair Care Behavior among Women in Their 20s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신부섭(Buseop Shin)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제26권 제1호, 121~14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2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the lifestyles of women in their 20s residing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and analyze the effects of each lifestyle type on appearance interest and scalp and hair care behavior. The goal wa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marketing strategies in the related product and care markets.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The lifestyles of women in their 20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trend-oriented,” “aesthetic-oriented,” “economy/practicality-focused,” and “conservative / tradition-focused.” Among these, the “aesthetic-oriented” and “trend-oriented” groups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The “aesthetic-oriented” group showed a strong interest in appearance and beauty, with notable attention to personal grooming and social interactions. In contrast, the “conservative/tradition-focused” group exhibited relatively low interest in appearance. The “trend-oriented” group demonstrated high awareness of scalp health and excelled at gathering relevant information. Furthermore, appearance interest significantly influenced scalp and hair care behaviors. As appearance interest increased, there was a notable rise in activities such as frequent shampoo use and professional care practic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differences in scalp and hair care behaviors across lifestyle types are closely linked to appearance interest and exhibit diverse patterns depending on individual lifestyle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related products and services, as well as for marketing strategies. However, this paper was limited to women in their 20s residing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which poses challenges for generalizing the results. Therefore, future research should expand the scope to include participants from different regions and age groups to enable more comprehensive and effective comparative analyse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Ⅳ. 연구결과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6권 제1호 목차
- 미용 서비스 가격표시제도 의무화가 신뢰도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위빙기법을 이용한 염색작품
- 미용 분야의 AI 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현황 분석
- 맨발 걷기의 신체적 및 정서적 효과가 심리적 만족과 외모 만족에 미치는 영향 : 40대 이상 성인을 중심으로
- 뷰티종사자의 자기관리가 직무몰입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장벽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20대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이 외모관심도와 두피·모발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헤어미용과 네일미용 분야 학위논문 및 학술지 연구동향 분석: 2014년부터 2023년 중심으로
- 헤어커트 도해도 매뉴얼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성인 직장인 남성의 웰니스 및 피부미용, 심리적임파워먼트 간 관계연구
- 울주 대곡리 암각화를 응용한 네일디자인 개발 방안
- 화장품기업의 ESG경영이 기업신뢰도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뷰티서비스종사자의 조직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프로티언경력태도와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화장품 유튜브 영상의 콘텐츠특성, 인플루언서특성, 딕션이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스파 서비스품질이 지각된 가치와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문화적 압력이 자율지향성을 매개하여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I뷰티 모델을 활용한 틴에이저 뷰티 화보 제작 프로세스 연구
- 뷰티 서비스 종사자의 인구통계 특성에 따른 직무 관련 행동에 관한 연구: 직업 정체성, 워라벨, 잡크래프팅, 혁신행동을 중심으로
- 게이미피케이션 연구 동향과 미용 교육의 활용방안 연구
- K-지역축제 콘텐츠 다양화를 위한 하프마스크 제작 연구: 함평나비대축제 대표 나비 4종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