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용 분야의 AI 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현황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for the Promotion of AI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Beauty Sector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김보람(Bo Ram Kim) 김정원(Jeong Wo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제26권 제1호, 23~3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2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n order to promote AI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beauty field, this study collected the opening of AI convergence curriculum and curriculum of 48 four-year beauty colleges nationwide and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each field. When looking at the distribution of beauty colleges by region, 10 universities in Chungcheong area, 7 in Gyeongsang area, 6 in Seoul and Jeolla area, and 5 in Gyeonggi and Gwangju area were the most common. There were 4 in Busan and 1 in Jeju Island. As for the AI convergence curriculum, Gwangju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with 40%, and a total of 25 AI courses were identified for each subject. In other universities, education was not reflected in AI education class plans or subject names and was being used as content for graduation works, exhibitions, and classes. Some schools reorganized their education, but more schools did not. Educational content is classified into hair, aesthetic, makeup, beauty education, and beauty industries. As it is focused on educational goals and specific fields, we mainly focused on AI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and beauty courses. However, considering the shortcomings of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hair beauty education, the need to develop more diverse AI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is clear. AI convergence education is expected to continue to expand and become a cornerstone of beauty-related education, leading the development of IT convergence curriculum in line with the knowledge-oriented information age.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6권 제1호 목차
- 미용 서비스 가격표시제도 의무화가 신뢰도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위빙기법을 이용한 염색작품
- 미용 분야의 AI 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현황 분석
- 맨발 걷기의 신체적 및 정서적 효과가 심리적 만족과 외모 만족에 미치는 영향 : 40대 이상 성인을 중심으로
- 뷰티종사자의 자기관리가 직무몰입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장벽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20대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이 외모관심도와 두피·모발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헤어미용과 네일미용 분야 학위논문 및 학술지 연구동향 분석: 2014년부터 2023년 중심으로
- 헤어커트 도해도 매뉴얼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성인 직장인 남성의 웰니스 및 피부미용, 심리적임파워먼트 간 관계연구
- 울주 대곡리 암각화를 응용한 네일디자인 개발 방안
- 화장품기업의 ESG경영이 기업신뢰도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뷰티서비스종사자의 조직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프로티언경력태도와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화장품 유튜브 영상의 콘텐츠특성, 인플루언서특성, 딕션이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스파 서비스품질이 지각된 가치와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문화적 압력이 자율지향성을 매개하여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I뷰티 모델을 활용한 틴에이저 뷰티 화보 제작 프로세스 연구
- 뷰티 서비스 종사자의 인구통계 특성에 따른 직무 관련 행동에 관한 연구: 직업 정체성, 워라벨, 잡크래프팅, 혁신행동을 중심으로
- 게이미피케이션 연구 동향과 미용 교육의 활용방안 연구
- K-지역축제 콘텐츠 다양화를 위한 하프마스크 제작 연구: 함평나비대축제 대표 나비 4종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