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Digital Literacy

이용수  2

영문명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저자명
전영창(Young chang Jeon) 최성언(Seong eon Choi) 강다은(Da eun Kang)
간행물 정보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84권, 35~6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SES)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디지털 리터러시의 두 가지 요소인 디지털 적응 역량 인식과 디지털 기기 활용역량의 조절 효과를 검토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 노인의 현황을 대표할 수 있는 2023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SES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디지털 적응 역량 인식이 이 관계를 완화하는보호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이 디지털 환경에서 적응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가질수록,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디지털 기기 활용 역량은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이었으나, SES의 영향을 조절하는 역할은하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한 디지털 기기 활용 능력만으로는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노인의 디지털 환경 적응 인식을 강화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제안한다. 첫째, 기존의 기술중심 디지털 교육을 넘어 노인의 디지털 환경 적응력과 사회적 참여를 촉진하는 프로그램 개발이필요하다. 둘째, 디지털 기기 활용역량과 디지털 적응 인식을 동시에 강화하는 통합 교육 프로그램을마련하여,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사회적 네트워크 확장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사회 기반의 ‘디지털 커뮤니티 허브(Digital Community Hub)’를 구축하여, 노인들이 지속적으로 디지털 환경에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공동체 기반의 지원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SE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two components of digital literacy: digital adaptability and digital device competency.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2023 Surveys on Current Status of Senior Citizens, a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set that captures various aspects of older adults’lives in South Korea. Results indicated that SE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and digital adaptability acted as a protective factor moderating this relationship. Specifically, older adults with greater confidence in adapting to digital environments experienced a reduced negative impact of socioeconomic inequalities on their life satisfaction. Conversely, although digital device competency positively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it did not moderate the impact of S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erely enhancing skills in digital device usage has limited efficacy in addressing socioeconomic disparities, while strengthening older adults' perceptions of digital adaptability could be a more effective strategy. Consequently, the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beyond technology-centric digital education to enhance older adults' digital adaptability and promote social participation. Second, integrated educational programs that simultaneously enhance digital device competency and digital adaptability percep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support social network expansion. Third, establishing community-based 'Digital Community Hubs' is critical for providing continuous community-supported access to digital environments for older adult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Methods of Analysis
Ⅳ. Analysis Results
Ⅴ.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영창(Young chang Jeon),최성언(Seong eon Choi),강다은(Da eun Kang). (2025).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Digital Literacy.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 35-65

MLA

전영창(Young chang Jeon),최성언(Seong eon Choi),강다은(Da eun Ka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Digital Literacy."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025): 35-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