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아동의 그릿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중독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31
- 영문명
- The Effect of Grit on Self-regulated Learning: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and Life Satisfaction
- 발행기관
- 글로벌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이영(Yeong Lee) 황인주(In Joo Hwang)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교육연구』제17집 1호, 153~17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아동의 그릿, 스마트폰 중독, 자기조절학습,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 연구문제는 첫째, 아동의 그릿, 스마트폰 중독, 삶의 만족도, 자기조절학습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아동의 그릿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중독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가 있는가?로 설정하였다. 2022년 아동 대상 패널 데이터 1,293개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2.0과 AMOS 22.0이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아동의 그릿, 스마트폰 중독, 삶의 만족도, 자기조절학습의 관계 간 구조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그릿은 스마트폰 중독, 삶의 만족도, 자기주도학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삶의 만족도는 자기주도학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그릿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에서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국내 아동의 글로벌 수준에 부합하는 자기조절학습 증진을 위하여 그릿과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실천 전략이 제안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grit, smartphone addicti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life satisfaction. The 1,293 panel data of Korean children in 2022 were used for the analysis by SPSS 22.0 and AMOS 22.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structural model betwee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grit, smartphone addiction, life satisfac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was found to be appropriate.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gr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life satisfa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nd lif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grit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n action strategy to increase grit and life satisfaction to promote self-regulated learning in line with the global level of domestic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