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MOOC 기반 한국사 강좌를 활용한 해외 한국학 수업에서 대학생들의 한국사 인식 변화: 일본 대학 한국학 교양 수업을 중심으로
이용수 4
- 영문명
-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Changes of Korean history in overseas Korean studies classes utilizing K-MOOC-based Korean history courses
- 발행기관
- 글로벌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권회림(Hoilym Kwon) 오지혜(Jihae Oh) 강에스더(Esther Kang) 박진(Jean Park)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교육연구』제17집 1호, 59~92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교육기관에서 제공되는 동질의 콘텐츠가 실제 해외 대학 현장에서 활용되었을 때, 해외 대학생들의 한국사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일본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강좌 수강 전과 후 변화된 한국사 인식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사 학습 경로의 다양화, 한국사 관심 주제의 세분화, 한국사 관심 시대의 심층화가 되었음을 밝혔다. 또한 한국사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역사적 친밀감과 연결성 인지, 지식의 체계화와 역사성 부여, 관점의 다각화, 그리고 지식의 확장과 심화 등의 인식 변화가 나타났다. 이에 해당 수업을 접한 해외 대학생은 한국사에 대한 이해가 단순한 지식 습득을 넘어 보다 깊이 있는 역사적 탐구로 이어졌음을 발견하였다. 이런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사 해외 확산 콘텐츠 자료로서의 가치 입증 및 콘텐츠 개발 및 활용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same content provided by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actually changed overseas university students when used in overseas university sites. To this end, 300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the class were surveyed and interviewed on the perception of Korean history. As a result of a survey conducted by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to examine the change in perception before and after they experienced learning using Korean history on-line lectures, their awareness expanded in all areas, including the path of learning Korean history, the topic of interest, and the times. In the process of watching Korean history on-line lecture and learning Korean history, changes in perception such as historical intimacy and relation, systematization of knowledge and the awareness of historical understanding, diversification of perspectives, and knowledge expansion and deepening appeared. This suggests that the understanding of Korean history has led to more in-depth historical inquiry beyond simple knowledge acquisition.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ave value as data that can be used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producing contents that spread Korean history abroad.
목차
Ⅰ. 서론
Ⅱ. 해외에서 활용되는 한국사 학습 자료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