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이 지각하는 가족 건강성의 변화 궤적과 예측 변인 분석 : 잠재성장모형 적용
이용수 49
- 영문명
- Analysis of Change Trajectory and Predictive Variables in Family Health Perceived by Disabled Persons : Latent Growth Model
- 발행기관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김혜주(Hye-Ju Kim) 윤상용(Sang-Yong Yoon)
- 간행물 정보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제54호, 147~16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3년 기준 우리나라 등록장애인은 2,641,896명으로, 전체 국민의 5.1%를 차지하며, 장애인의 일상생활과 사회 참여에는 가족의 지원과 돌봄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장애인이 지각하는 가족 건강성의 시간적변화를 분석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개발원‘장애인삶패널조사(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데이터 1차(2018)~5차(2022)까지 자료를 활용,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 LGM)을 적용해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은 2015~2017년 보건복지부에 장애 등록을 마친 신규 등록장애인이다. 분석 결과 장애인이 지각하는 가족 건강성은 단순한 선형 변화가 아닌 비선형적 변화 패턴을 보였으며, 초기 가족 건강성이 낮을수록 변화 속도가 더 빨랐다. 또한, 가족건강성의 변화에는 가족 내 정서적 지지, 의료서비스 만족도, 사회적 관계 요인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정서적 지지는 가족 건강성의 초기값과 변화율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장애인 복지서비스 만족도는 가족 건강성의 초기값에는 영향을 미쳤으나, 장기적인 변화율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가족의 돌봄 부담 완화와 사회적 돌봄체계 강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As of 2023, the number of registered disabled people in Korea was 2,641,896, accounting for 5.1% of the total population, and family support and care are essential for the daily life and social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mporal change of family health perceived by the disabled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it. To this end, data from the 1st to the 5th (2018) Data of the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of the Korea Disabled Development Institute were used and analyzed by applying the Latent Growth Model (LGM).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newly registered disabled people who registered wit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ith disabilities from 2015 to 2017.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amily health perceived by the disabled showed a nonlinear change pattern, not a simple linear change, and the lower the initial family health, the faster the change. In addition, emotional support within the family, medical service satisfaction, and social relations facto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hange in family health. In particular, emotional support was identified as a key factor that positively influenced both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in family health. On the other hand, satisfaction with welfare services for the disabled had an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family health, bu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long-term rate of change.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suggestions for easing the burden of care for families with disabilities and strengthening the social care system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문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제공 물리적 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과 일본의 커뮤니티 케어 정책 비교연구 : 한국 돌봄통합지원 법제화·일본 지역공생사회로의 전환
- 지역사회 통합돌봄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선도사업 연구분석을 중심으로
- 장애인이 지각하는 가족 건강성의 변화 궤적과 예측 변인 분석 : 잠재성장모형 적용
- 사회복지시설의 창의적 조직풍토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노인복지시설 내 학대 사건과 관련한 행정처분에 대한 취소소송 판례연구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4호 목차
- 성장기 가정폭력 노출 경험과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의 관계 : 잠재변수모형을 중심으로
- 성착취 피해 아동·청소년 지원 경험에 관한 연구 - 법 개정 이후 현장 실무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기수용 척도 개발을 위한 이론적 개념 형성과 확장 : 칼 로저스의 인본주의 성격 이론에 기초한 접근
- 사회복지상담과 불교철학의 융합 가능성 :이론·실천의 통합을 위한 개입 모형 제안
-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접근의 개념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